•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 ‘심원정 25영(心遠亭 二十五詠)’과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를 중심으로 -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himwon - Pavilion Garden in Chilgok - Focusing on ‘Shimwon - pavilion Poem of 25 Sceneries’ and 「Shimwon - pavilion Soosukgi(心遠亭水石記)」 -)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6.06
8P 미리보기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 - ‘심원정 25영(心遠亭 二十五詠)’과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4권 / 2호 / 27 ~ 34페이지
    · 저자명 : 김화옥, 박율진, 노재현, 신상섭, 조호현

    초록

    『기헌(寄軒)집』에 실린 「심원정수석기(心遠亭水石記)」의 ‘심원정 25영’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기헌 조병선에 의해 조성되고 향유된 칠곡 심원정원림의 공간구성과 경관특성을 고찰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원정원림은 북쪽으로는 송림이 있는 ‘임수형(林藪型)’이자 원림 내부로 구야천이 흐르는 ‘계류형 별서원림’의 입지 특성을공유하며 본제(本第)와는 직선거리로 약 400m 이격되어 있다.
    2. 북쪽에는 가산(假山)인 학림산을, 동쪽과 서쪽에는 만경류를 올린 취병(翠屛)을, 남쪽으로는 구야천변의 석벽(隱屛)을 포치시키는등 사방에 ‘가림’시설을 조성함으로써 위요공간 속에 은일을 추구한 기헌의 정신을 표출하고 있다.
    3. 심성을 수양하는 선비의 소우주이자 거처로 조성되고 향유된 심원정원림은 송림사의 경역 내에 위치함으로써 불교사상을 수용하며, 도연명의 전원사상과 시선(詩仙)이라 불리는 이백의 낭만주적 감성을 통한 도가적 삶의 추구 그리고 주자의 성리학적 가치를실현하는 통섭(統攝)의 장으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4. 심원정 25영 중 5영은 정운루․암수실․위류재․이열당 등의 용도가 다른 부속실과 이를 아우르는 정각인 ‘장수지소(藏修之所)’ 심원정에 의탁되었으며 외원에 부여된 20영은 자연에 이름을 붙인 것 9개, 조성한 것 11개로 나뉘며, 자연에서 얻은 9영은「석경기」에 기술된 바를 바위에 각인시켰다.
    5. 현존하는 실내경물 4영은 편액으로, 원림내 경물 중 5개소는 바위글씨로 그리고 8개소는 표지석으로 각 경물이 인식되도록의도했으나, 8개 영의 표식은 유실 및 훼철 등으로 확인되지 않는다.
    6. 심원정 25영 중 ‘괴강(槐岡)’에는 학자수를 상징하는 회화나무, ‘유제(柳堤)’에는 도연명과 줄기찬 생명력을 상징하는 버드나무, ‘기천(杞泉)’에는 ‘가족의 단란함’을 상징하는 구기자나무 그리고 ‘동․서취병(東․西翠屛)’과 ‘방원(芳園)’에는 만경류와 초본류등 다채로운 의미를 담는 식물경관이 등장한다. 또한 폭포(隱瀑), 소(君子沼), 못(湯池), 샘(杞泉), 바위를 가운데 두고 갈라 흐르는물(盤陀石) 그리고 바위 사이로 흐르는 물(水口巖) 등 다채로운 수경관이 기도되었다.
    7. 심원정원림은 수계 인접형 원림임에도 불구하고 11개 영을 직접 조성하는 등의 적극적인 개입이 두드러진다. 기존의 여타 정자원림이가깝고 먼 곳에 자연 중심의 경(景)과 곡(曲)의 경물 설정에 충실한 곳이었다면, 심원정원림은 정자를 시점으로 의미 강화된경물을 취경(聚景)하도록 유도된 적극적인 수경(修景)이 두드러진다.

    영어초록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himwon-pavilion garden built and enjoyed by Jo Byeong-sun in 1937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based on ‘Shimwon-pavilion Soosukgii(水石記)' and ‘Shimwon-pavilion Poem of 25 Sceneries(二十五詠)’ contained in ‘Anthology of Giheon(寄軒)' are as follows.
    1. Shimwon-pavilion garden is assumed as Byeol-Seo garden based on the planning background and contents of Gimun and the observations on spot. By its location, it is classified as ‘Planted forest' with a pine forest in the north and ‘Byeol-Seo of mooring type' with Guyacheon flowing in the garden. It is about 400m away from the main house in the straight-line distance.
    2. The meaning and attributes of reclusiveness are well represented in the ‘screening structures' all around Shimwon-pavilion garden with Hakrimsan, a Gasan(假山) in the north, vines on Chwibyeong(翠屛) in the east and west, Eunbyeong(隱屛) of stone walls along with Guyacheon in the south, which shows the spirit of Giheon who adored the Taoistic life.
    3. Shimwon-pavilion garden, located in the Songrimsa, a temple of thousand years, is a place of consilience where Buddhism was accepted, Taoistic life was pursued with Tao Yuan-ming's philosophy regarding rural areas and romantic sensibilities of Li Po, called poem master(詩仙), the confucian values of Zhu Xi were realized. Giheon intended to build and enjoy this place as a microcosm and shelther where he unfolded his own view of learning and cultivated his mind.
    4. 25 sceneries on Shimwon-pavilion consist of 5 sceneries in the space of pavilion(architecture) and 20 sceneries in the outer garden. First, 5 sceneries consist of ancillary rooms for various uses, including Jeongunru, Amsushil, Wiryujae, Iyeoldang, and Jeong-Gak Shimwon-pavilion embracing them, which shows that Shimwon-pavilion is a place to foster younger students. And 20 scenary is divided into 9 sceneries on the natural spaces and 11 artificially created facilities.
    9 sceneries are engraved on the rocks as described in ‘Seokgyeonggi'.
    5. 4 sceneries of the indoor scenery lexemes(亭閣․心遠亭․怡悅堂․停雲樓․闇修室) were intended to be recognized by the framed pictures, 5 places among the scenery lexemes in garden(龜巖․醒石․隱屛․兩忘臺․東槃) by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nd 8 places(君子沼․杞泉․天光雲影橋․芳園․槐岡․柳堤․石扉․東翠屛) by sign stones, but signs of 8 sceneries are not currently identified because they have been be swept away and demolished.
    6. A variety of plant landscapes with various meanings and water landscape with various types are contained in 25 sceneries - Sophora symbolizing a tree for scholar in Gehgang(槐岡), Willow symbolizing Tao Yuanming and continued vitality in Yooje(柳堤), Boxthorn symbolizing family togetherness in spring(杞泉), vines and herbal plants and waterfalls(隱瀑), shallow pond(君子沼), pond(湯池), water hole(杞泉), water flowing in the middle of rock(盤陀石), water flowing between the rocks(水口巖).
    7. While Shimwon-pavilion garden is a garden near the water, the active involvements with 11 sceneries directly built is distinguished. The other pavilion gardens are faithful in engraving the names by setting the scenery lexemes of the nature-oriented Gyeong(景) and Gok(曲) near and far, but Shimwon-pavilion garden is a garden for active learning(修景) with the spaces built to match with the beautiful nature and to show the depths of space of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