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완도 수목원 난대림에 서식하는 대형나방의 다양성 및 계절적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Biodiversity and Seasonal Changes of Macromoths Inhabiting the Warm Temperate Deciduous Forest on Wando-Arboretu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1.12
24P 미리보기
완도 수목원 난대림에 서식하는 대형나방의 다양성 및 계절적 변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3권 / 4호 / 141 ~ 164페이지
    · 저자명 : 안나현, 이상훈, 최세웅

    초록

    기후변화의 영향은 많은 곤충들의 군집과 생물계절현상의 변화를 이끄는 데 있어 점점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나방은 식충성 척추동물, 특히 박쥐와 명금류의 중요 먹이원이기에 나방의 감소는 먹이그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남쪽 완도 난대림에서 서식하는 초식곤충인 나방류의 다양성과 계절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대형나방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한 결과 완도군에서 총 14과 377종 4,807개체를 확인하였다. 가장 우점한 과는 자나방과(Geometridae, 121종 2,472개체)이며, 다음으로 태극나방과(Erebidae, 104종 998개체), 밤나방과(Noctuidae, 84종 642개체) 순이었다. 조사 기간동안 가장 우점한 종은 자나방과의 털뿔가지나방(Alcis angulifera)으로 매 해 동일하였다. 전체 종수와 개체수를 연도별로 분석해본 결과, 종수와 개체수 모두 줄어들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더불어 다양성지수를 확인한 결과 종다양성과 균등도도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우점도는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순위-풍부도 곡선을 통하여 모든 조사년도에서 상대적으로 개체수가 많은 종들의 숫자보다 개체수가 적은 종들의 숫자가 더 많이 나타나는 일반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과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풍부도를 보인 해가 2018년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양성 지수를 월별로 비교해보았을 때, 5-6월인 늦봄-초여름에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었고, 종 다양도 지수는 2017, 2019년은 8월, 2018, 2020년은 5월에 가장 높았으며 우점도 지수는 2017-2019년은 10월, 2020년은 6월에 가장 높았고 균등도 지수는 2017, 2019년은 8월, 2018, 2020년은 5월에 가장 높았다.
    완도수목원을 난대림에서 야행성 나비목 다양성을 조사한 선행연구에서는 1998년 총 4과 4종 6개체, 2014년 총 8과 30종 80개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17년-2020년 4월-10월 월 1회씩 3지점에서 야간에 자외선등 트랩을 이용하여 수행한 연구로 14과 377종 4,807개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선행연구들과 이번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완도 난대림에 서식하는 야행성 나비목은 총 14과 389종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조사 방법과 횟수에 많은 차이가 있어 결과가 매우 상이하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대형나방류만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지만, 미소나방이나 주행성 나비목의 조사결과를 추가한다면 완도 난대림에 서식하는 나비목 곤충은 훨씬 다양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곤충의 다양성과 변화양상을 지속적으로 정량적인 방법으로 기초자료를 축적한다면 기후변화나 서식지 환경변화로 인한 완도 난대림에서 서식하는 곤충의 변동을 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climate change has been impacted heavily to the diversity of many insects including moths and butterflies. Moths are important food sources for higher consumers in the food chain, especially bats and birds, and the reduction of moths will impact the species that are interacting within the food web. Here the diversity and seasonal changes of macromoths assemblages living in the warm temperate deciduous forest on Wando Arboretum was investigated.
    The on-site research of nocturnal macromoths from 2017 to 2020 identified 4,807 individuals, comprised of 377 species in 14 families. The dominance of species was the highest in the family of Geometridae with 121 species and 2,472 individuals, followed by Erebidae with 104 species and 998 individuals, and Noctuidae with 84 species and 642 individuals. The most frequently-observed species was the geometrid moth, Alcis angulifera with 787 individuals accounting for 16.4% of the total population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ecline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as well as the diversity index was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 dominance tended to increase gradually.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were observed during late spring and early summer (May and June).
    Previous studies on the study area reported four species in four families in Nocturnal Lepidoptera in 1998 and 30 species in eight families in Nocturnal Lepidoptera in 2014. Combining previous studies and the present study, there are a total of 389 species in 24 families of nocturnal macrolepidoptera living in the warm temperate deciduous forest on Wando Arboretum. It was expected that the lepidopteran insects inhabiting the warm temperate deciduous forests on Wando will be much more diverse when the results of the microlepidoptera and diurnal Lepidoptera are ad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