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주체별 자연휴양림 무장애성 분석 (Analysis of Barrier-free Characteristics by the Subject on Natural Recreational Forest for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5.09
16P 미리보기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주체별 자연휴양림 무장애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19권 / 3호 / 79 ~ 94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혁, 서정원, 손용훈

    초록

    웰빙, 로하스 등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림공간에도 복지시설에 대한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데 불편과 장애가 없도록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산림복지공간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와 시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들이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그것도 산림 전체적 공간에 대한 객관적 접근을 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 산림복지공간인 자연휴양림에 대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주요 이용층인 일반인, 장애인을 중심으로, 필요에 따라 관리자까지 포함하여 공간이용에 대해 느끼는 무장애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식도 낮았고, 일반인은 산림복지공간을 장애인과 함께 이용하는데도 상당수 거부감을 가지고 있어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고 판단된다. 또한 이용주체별 무장애성에 대해 공간을 유형화한 결과, 장애인 이용도 어렵고 관리도 힘든 이동편리성 공간, 전체적으로 편리하게 느끼는 휴양편리성 공간, 장애인에게 불편한 서비스편리성 공간의 3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세부공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진입로, 주차장, 숙박시설에 대한 차이가 분명히 들어나 이들 공간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해당 공간을 개선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에 맞게 모두가 함께 장애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산림복지공간을 조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As concerns toward welfare-related issues such as ‘well-being’ or ‘lohas’ are heightening, the need for introducing welfare facilities in forest areas are also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ere are increased attempts and researches to apply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which would cater to the diverse needs of those using such facilities in the forest area.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only focus on the disabled as the main user group, and in many cases fail to consider the forest area in a holistic mann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tire area of natural recreational forest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he general public,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forest welfare facility managerial group regarding barrier-free elem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remained low and the general public had negative opinions toward sharing the fores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result reveals that education and guides regarding universal design are desperately needed. Furthermore, another significant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orest area could be differentiat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spaces. The first type is the area inconvenient for both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anagers; second, the area convenient for all users and; third, areas which are inconveni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nly. Specifically, main access road, parking lot, and accommodation were elements that were perceived mos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ser groups which suggests immediate improvements for these areas. Based on such findings, improved forest welfare is anticipated by further developing barrier-free elements and the use of universal design concepts for every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림휴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