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천연기념물 제429호)의 관속식물상, 분포실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scular Plants, Distribution Status and Management Plans of the Cactus Habitat (No. 429 Natural Monument) in Wolryung-ri, Jeju Island)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3
12P 미리보기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천연기념물 제429호)의 관속식물상, 분포실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6권 / 1호 / 55 ~ 66페이지
    · 저자명 : 이철호, 장계현, 류태복, 최병기

    초록

    제주 선인장군락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유일한 자생지로 특유의 고유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생지 일대의 선인장 분포 현황에 관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으며, 서식지 내 혼생식물의 다양성 및 선인장 개체군 분포와의 상호 관계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월령리 선인장군락지 내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고 선인장의 분포 실태 및 출현 경향을 기록하고자 하였다. 선인장의분포 특성과 함께 혼생 식물종 가운데 서식처의 특성을 반영하는 종의 특성과 선인장 개체군의 유지에 위협이 되거나, 선인장 보존에있어서 관리의 대상이 되는 생물 및 환경 요소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식물상 확인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5년 6월부터 2017년9월까지 식물계절을 고려하여 총 6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식물에 대한 배열순서와 학명의 기재는 Engler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종의 한글명은 한국표준식물목록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는 선인장이 우점하는 지역 고유의 특징적인 상관을 형성하고 있었다. 관속식물상은 53과104속 109종 15변종 1품종으로 총 12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분포하지 않았다. 양치식물은 꼬리고사리, 도깨비쇠고비로 2종이 확인하였으며, 나자식물은 서식하지 않았다. 피자식물이 총 123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쌍자엽식물이 91분류군, 단자엽식물이 3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선인장 보호지역 내 전체 487개 격자 중 59.3%에 해당하는 289개 격자에서 선인장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5-95%의 다양한 피도분포를보였다. 미출현 격자의 대부분은 현무암 암반이 노출된 해안지역으로, 반복적인 파도의 영향을 받아 토심이 발달하지 못하거나 극히제한적인 지역과 인위적 시설물 또는 초지, 관찰로 등이 조성된 지역이었다. 반면 선인장이 70% 이상 높은 우점도를 보이는 구간은총 71개 격자 지점으로 전체의 14.5%를 차지하고 있었다.
    선인장은 보호 지역 내에서 무작위분포를 나타내며, 미소서식처 환경에 적응되어 생육가능입지를 따라 기회주의적으로 분포하고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락지 내 선인장은 대부분 단위생식(parthenogenesis)에 의존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현재의 분포는 군락지내 선인장의 잠재분포가능 영역을 투영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현장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지역 보존 및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을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cactus habitat in Jeju Island has a phytogeographically specific distribu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forms a unique landscape as the only native cactus (Opuntia ficus-indica (L.) Mill.) habitat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of cacti in the habitat and no investigation on the diversity of the mixed composition of plants in the habita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cactus popul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in the Wollyeong-ri cactus habitat and record the actual distribution and trends of cactus distribution. In addition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acti, we als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among the mixed population of plant species, as well as th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threaten the maintenance of cactus populations or require management for preservation of cacti. Considering the phenological character, we conducted the field surveys for flora identification six times between June 2015 and September 2017. The Engler classification system was used for the arrangement sequence and names of plants, and the Korean Plant Names Index was adopted for the Korean name of the speci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Wolryung-ri cactus habitat in Jeju Island has the characteristic physiognomy of an area dominated by cactus. For the vascular plants, a total of 125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53 families, 104 genera, 109 species, 15 varieties and 1 forma. Endangered plants spec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not found. Two species, Cyrtomium falcatum and Asplenium incisum, were identified as the ferns, and no gymnosperms were found. In addition, 123 taxa of angiosperms, 91 taxa of dicotyledones and 32 taxa of monocotyledons were identified.
    The distributions of cacti were confirmed in 289 meshes corresponding to 59.3% of the total 487 meshes in the cactus protected area, which showed various coverage distributions ranging from 5% to 95%. Most of the meshes where no cacti were found are coastal areas with exposed basalt rocks where the soil depth has not developed or extremely restricted due to repeated waves, or areas where artificial facilities, grasslands, and observation paths have been construct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71 lattice points in 14.5% of the total area where the cactus showed 70% or higher dominance.
    Cacti are randomly distributed in these areas. They have adapted to the microhabitat environment and are found to be opportunistically distributed along the growable locations. Considering that the reproduction of cacti in the habitat is mostly dependent on parthenogenesis, the present distribution seems to reflect the potentially distributable regions of cacti in the habitat.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a management plan for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protected areas has been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