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창 고학리 해주오씨의 장소애착을 통해 본 종족경관의 형성과정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through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at Gohak-ri, Geochang)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3.10
10P 미리보기
거창 고학리 해주오씨의 장소애착을 통해 본 종족경관의 형성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경학회지 / 41권 / 5호 / 28 ~ 37페이지
    · 저자명 : 이현우

    초록

    경남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에 소재한 용원정원림(龍源亭園林) 및 마을주변의 지명과 조형물 등 문화경관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용원정원림과 마을 내 배태(胚胎)된 해주오씨의 장소애착 방식과 특질을 확인하는 한편, 종족경관(宗族景觀)의 형성과정을 추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해주인 구화공 오수(九華公 吳守)가 마을에 터 잡은 이래 그의 후손들이 선조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다듬어 온 공간으로 1964년 용원정이 건립되었다. 이곳은 구화공의 유허지로 이후 후손들의 생활과 풍류의 거점이자 숭모(崇慕)의 정을 교감하는 원림적 장소로서 지속적으로 관리되어 왔음이 기문과 문헌자료 그리고 주변에 배치된 여러 시설 및 다수의 바위에 새긴 바위글씨를 통해서도 충분히 감지된다. 안의삼동 중 하나인 원학동의 지맥인 학봉(鶴峰)을 상징하는 고학리와 이곳에 각인된 ‘방학(訪鶴)․정학(停鶴)’의 의미는 해주오씨의 생태적 정착과 서식을 설명하는 경관언어가 분명하다. 장소성이 “어떤 실체로서 존재하기 보다는 담론과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고안물이다”라는 정의를 상기할 때, 주변 지명과 용원정원림 그리고 마을 도처에 산재한 다수의 조영물은 한국적 장소성의 특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종족집단의 기념비적 장소 전승의 사례이다.
    구화공이 고학리에 정착한 이래 해주오씨 종족집단은 서식지 정착단계를 거쳐 장소성 구현을 통한 경관형성단계를 이루었다. 이후 조상숭모와 장소착근 현상이 되풀이되면서 영역성은 확산되고, 장소의 재생산이 이루어졌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도 재실 건립과 유허비 조성 등이 이어졌으며, 해방 이후에도 용원정 건립 등 장소재현의 단계를 거쳐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기념비적 종족경관이 펼쳐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애착(場所愛着)과 장소착근(場所着根)의 결과가 바로 우리가 지각하는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의 종족경관’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종족집단의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현상이 되풀이되어 형성된 영역성 확산의 산물이야말로 종족경관의 실체인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집단 기억 속에 재차 구축․전승되고 있는 고유한 장소에 대한 후손들의 진지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진정한 장소애착의 정신을 확인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which sought to conjecture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while confirming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which is rooted within the village and the Yongwon Pavilion and Garden of Gohak-ri, Mari-myeon, Geochang-gun, Gyeongnam,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nd scenic elements such as the names and sculptures nearby the village and Yongwon Pavilion and Garden.
    This place is where Goohwagong Oh Sue, a Haeju person, settled down. This is also where his descendants were refined while yearning for their ancestors. The Yongwon Pavilion was established in 1964. It can be sufficiently known that this place was managed and maintained as a garden-like place where the spirit of yearning was shared and which was the basis of the life and entertainment of descendants after being the monumental place for Master Oh Guhwa, through stories, documents, nearby facilities, and writings on many rocks. It is clear that the meaning of ‘Bang-Hak(訪鶴) and Jung-Hak (停鶴)’ which is carved in many places around this area and Gohak-ri, which symbolizes the Hakbong(crane peak), the vein of Wonjak-dong which is one of the Ahneuisamdong(three outstanding scenic places of Ahneui), is a scenic language explaining the ecological settlement and lives of the Haeju Oh Family. When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a sense of place as “a ‘social device’ made by discussions and practice rather than its existing as a substance,” the many structures scattered around the village, Yongwon Pavilion Garden, and nearby designations show the monumental place inheritance of tribal group clearly exhibi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Korean sense of place.
    Ever since Guhwagon Oh Sue settled down in Guhak-ri, the tribal group of Haeju Oh Family went through a life settlement phase and landscape formation phase by realizing the sense of place. Afterwards, while yearning for ancestors and repeatedly rooting down in the place, territoriality expanded and the place was reproduced. In particular, timber houses and monument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and after independence, the Yongwon Pavilion was constructed through place reproduction, and monumental tribal landscape is currently being expressed in various forms to this day. Thus, allowing to reach the conclusion of ‘Tribal Landscape of Gohak-ri, Mari-myeong, Geochang-gun,’ which we perceive today. The products of territorial expansion formed by the repeating phenomenon of place rootedness and place attachment by tribal groups are in fact the substance of tribal landscape. Through such,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true spirit of place attachment and the earnest interest and affection of descendants towards a unique place that is repeatedly constructed and inherited within the group mem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