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대와 불화하는 사회학과 교육 - 취업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전문성 시대와 일반성 추구간의 부조화 (The Sociological Education which does not Harmonize with the Times - Dissonance with Professional Job and Generality Focusing on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2.08
36P 미리보기
시대와 불화하는 사회학과 교육 - 취업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전문성 시대와 일반성 추구간의 부조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4권 / 1호 / 37 ~ 72페이지
    · 저자명 : 강희경

    초록

    사회학과 학생들이 현실적으로 사회학과에 대해 가장 비관적인 것이 취직 전망이 밝지 않다는 것이다. 비판 사회학과 보수 사회학 모두 취업 문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제공하는 건강 보험과 연계된 취업률을 중심으로 사회학과 졸업생들의 취업률을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건강 보험과 연계된 사회학과의 취업률은 대학 평균 취업률보다 낮다. 비수도권 대학 사회학과의 취업률은 비수도권 대학 평균 취업률보다 훨씬 좋지 않다. 취업의 질도 매우 좋지 못하다. 사회학과 졸업생들의 비정규직 취업률이 시장 친화적인 경제학과와 경영학과 졸업생들보다 상당히 높다. 특히 수도권 이외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학과의 정규직 취업률은 상당히 낮다. 반면에 서울 소재 사회학과 학생들은 정규직에 취업하는 비율이 높다. 전공과 일치하는 직장으로 취업하는 사회학과 학생들의 비율도 경제학과 학생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 2010년도 10개 국립대학 사회학과 졸업생들 중 전공과 일치하는 직장으로 취업한 비율은 8.3%에 지나지 않는다.
    사회학과가 해결할 수 없는 신자유주의와 같은 문제를 제외하고, 사회학과가 취업에 관해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첫째, 사회학과 학생들이 취업할 수 있는 대상을 확보하는 것이다(예: 상급 노동 단체와 시민 단체와 사회적 기업). 둘째, 삶의 현장에 보다 깊숙이 들어가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회조사분석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수들은 발표와 토론식 수업을 강화하고, 파워 포인트와 엑셀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영어초록

    In reality,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sociology have criticized that it don't provide them the bright job prospects. The critical sociology and conservative sociology are both not capable of dealing with problems of this kind.
    This article discusses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sociology focusing on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linked with the health insurance which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provided. As a whole,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sociology focusing on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linked with the health insurance is placed lower than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And this rate of the non-Capital area college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sociology is far lower than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of the non-Capital area college graduate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college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sociology is very poor. They are at work as irregular workers than the college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economy or the business administration department. This means that college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sociology located in Seoul find a job as regular workers, but those located in non-Seoul are employed as irregular workers. And the rate of majors and matching job of college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sociology is noticeably below. This rate of 10 department of sociology of national university is just 8.3 percent.
    This article proposes four alternative plans that the departments of sociology have to do. Firstly, the departments of sociology secure targets that college graduates from the department of sociology can work(for example, senior labor organizations and civic groups and social enterprises). Secondly, they urge students to inquire life scene. Thirdly, the professors encouraged them to acquire a license for social research. Finally, the professors change their teaching technique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nd enterprises. For example, they strengthen to announce the expression class and apply Power point and Excel techniques in le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