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업률을 고려한 최적 통화정책 분석 (Unemployment and Optimal Monetary Polic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5.09
41P 미리보기
실업률을 고려한 최적 통화정책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금융학회
    · 수록지 정보 : 금융연구 / 29권 / 3호 / 33 ~ 73페이지
    · 저자명 : 김인수, 이명수

    초록

    경기변동을 설명함에 있어 재화시장의 가격경직성과 함께 임금경직성이 중요하다는 인식이확대됨에 따라 통화정책에서 차지하는 실업률의 역할 또한 증대되고 있다. 반면, 전통적인 확률적동학 일반균형(DSGE) 모형에 관한 우리나라의 기존 연구들은 금리준칙의 실물변수로 주로 생산을고려하고 있다.
    또한 생산 갭 또는 실업률 갭이 불확실하게 관측됨에도 불구하고 중앙은행이동 변수에 대응하여 통화정책을 운영하는 경우, 중앙은행이 원하는 정책효과를 달성하지 못할가능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경기변동에서 노동시장이 차지하는 역할 증대와 갭변수의 관측불확실성 문제를 고려할 때 바람직한 금리준칙의 형태는 무엇인가를 엄밀한 모형을 이용하여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실업률이 포함된 뉴케인지안 DSGE 모형을 설정하는한편, 우리나라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한 이후 최적 통화정책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실업률 변수에 대응하는 금리준칙의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업률 갭보다는실업률 상승률에 대응하는 금리준칙이 사회후생 손실을 축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실업률 상승률이 중앙은행의 목적함수에 포함되는 물가상승률, 임금상승률 및 생산갭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 갭과 실업률 갭이 오차를 포함하여관측되는 경우에는 동 변수에 대응하는 금리준칙보다는 관측오차가 없는 증가율 변수에 대응하는금리준칙이 사회후생 손실을 더 축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는통화정책을 운영하는 데 있어 물가 및 경제성장 지표와 더불어 실업률도 중요한 지표변수로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role of unemployment as a feedback variable in monetary policy interest rate rules. While labor market variables are perceived to be important ingredients to explain business cycle fluctuations, many New Keynesian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DSGE) model literatures based on Korean economy consider output for the real sector variable in the feedback rule. We also investigate the role of growth variables in the monetary policy rules. Orphanides and Williams (2002) argued that a monetary policy rule responding to growth variables, such as unemployment growth, rather than gap variables can reduce policy mistakes from mis- perceptions of natural rates of output and unemployment. A monetary policy rule responding to output gap or unemployment gap could bring about unexpected or undesirable results, since natural rates of output and unemployment are not directly observed but measured with uncertainty or measurement errors, and policy actions based on such mistakenly perceived variables could cause the economy to move to the unintended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monetary policy rules can avoid such mistakes by responding to growth variables because such rules are not based on the uncertain measures.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we build a DSGE model with sticky prices and wages and unemployment, and estimate the model using Korean data. The monetary rules considered are interest rate rules responding to past interest rate, inflation rate, and a real sector variable. We consider four different Taylor type rules with respect to a real sector variable. For a real sector variable in the feedback rule, output gap, unemployment gap, output growth, and unemployment growth are used in the analysis. Based on estimated model parameters, we search feedback rule coefficients in a way to minimize welfare losse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rules.
    In order to analyze the optimal policy rules when output gap and/or un- employment gap are measured with errors, we simulate the case where the central bank adjusts interest rate responding to the output gap or un- employment gap which are measured with errors.
    We find that the rule responding to unemployment growth is more welfare improving than other rules. It is because unemployment growth contains information on not only output gap, but also price inflation and wage inflation which are components of welfare loss function. Therefore, responding to unemployment growth mitigates inefficiencies from sticky prices and wages at the same time. This result holds with and without uncertainty in output gap and unemployment gap. While, in case of cer- tainty, the rule responding to output gap is more welfare improving than the rule responding to output growth, the result is reversed in case of uncertainty because the rule responding to uncertain output gap measure misleadingly increases fluctuations of other variables. These results imply that, when central banks practice monetary policy, unemployment can be used as a useful feedback variable together with inflation and output vari- ab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금융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