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화사수륙재 儀禮梵文과 율조의 특징 (The ritual mantra text and the melody’s features of Samhwoasa Suryukja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9.12
36P 미리보기
삼화사수륙재 儀禮梵文과 율조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32호 / 271 ~ 306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삼화사수륙재는 바깥채비를 초청하여 의례를 행하므로 개방된 범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문화재 지정 전부터 2019년 현재까지 주도적으로 설행해온 조계종 어산작법학교는 경제 동교파인 개운사를 중심으로 활동하지만 해방후 개운사 범패 전승이 원활하지 못해 신촌 봉원사에서 수학한 승려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삼화사수륙재 범패는 경제 범패의 律的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삼화사수륙재의 의례 梵文을 살펴보니, 사자단 ․상단․중단․하단의 공양 절차에 각각 보공양․보회향진언이 1회씩 편재되어 있었다. 이는 보공양․보회향진언을 수시로 송주하여 20여 회가 되는 아랫녘수륙재와 차이를 보였다. 이에 비해 삼화사수륙재에서는 각 단을 시작할 때 바라무와 함께 천수다라니를 빈번히 송주 하였다. 이는 진관사도 마찬가지여서 웃녘에서는 아랫녘(영남지역)에 비해 천수다라니를 통한 결계와 옹호 작법이 부각 되었다.
    梵文 율조는 아랫녘과 마찬가지로 네 가지였는데, 이들 중 제1형은 홑소리, 제2형은 안채비소리와 궤를 같이하는 풍송조 였다. 漢語와 차별되는 梵文율조는 제3형과 제4형인데, 이들은 법구 타주와 함께 신명나게 송주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제3형은 사다라니를 비롯하여 보공양․보회향진언에서 집중적으로 활용되는 점이 눈에 띈다. 또한, 제3형은 3소박과 2소박을 오가는 유연성이 있고, 제4형은 2소박으로 촉급하게 송주 하였다. 梵文율조의 전반적인 양상을 보면, 뜻을 음미하는 운율들은 경전의 漢譯과 함께 漢語 가사로 대체되었고, 呪密 신앙에 의한 진언․다라니만 송주 되고 있다. 대개 漢語범패는 무박절의 靜적인 율조로, 梵語범패는 법구 타주와 함께 동적인 율조로 송주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의례문 율조는 漢語와 梵語가 대비되며 의례 율조의 변화와 균형을 이루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Samhwa temple’s Suryuk sanskrit mantra chants from 2012 to 2018. This ritual is designated as the 125th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result, I learned that the Bogongyang․Bohoihyang mantra offering was sung only five times, unlike during the Alyetnyeok Suryuk ritual in Yeongnam province when it is sung 23 times. Then, the Samhwa-sa Suryuk-jae performers sang twice more, regardless of the ritual text. I believe they wished to demonstrate their desire to offer and share more with existence and to raise the ritual atmosphere with mantra chants accompanied by rhythmical percussions beats.
    By this we can infer that the Korean Suryuk ritual focused on acknowledging services. Although influenced by China, it is different to the Chinese ritual which was done as a Dharma ceremony. The Korean Suryuk ritual begain to perform in Koryõ dynasty in that time it was not widespread. It was nationalized from Josun Dynasty for consolate to console those victimized by national founding war.
    There were four kinds of melody style as in the Areannyeok Suryukjae. The first was a slow melismatic, the second fast syllabical with a two metric beat, whilst the third was light and fast rhythmical with three metric beat. Bugongyang mantra with a cheerful rhythm and 3 metric beat was specific and differed from Chinese lettered songs. Significantly, they sung and danced the Cheonsu Darani, a prayer to Avalokitesvara Bodhisattva, a little more frequently in Samhwa temple. It was the same with Jinkwoansa’s Suryuk ritual, designated the 126th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Seoul. With the exception of Gyeongnam province’s temple, most prefer the Cheonsu Dharani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Bogongyang mantra, with its cheerful rhythm and 3 metric beat, specifically differed from Chinese lettered songs and was the same as the Areannyeok Suryukjae. Most mantra chants had a fast and syllabic melody, especially the specific figure of the Bogongyang Mantra with its rhythmical melody and three metric beat accompanied by numerous percussion instruments. The three metric beat in four time relates to the trisyllable pattern and phonogram of the Sanskrit and Korean langu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