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조선의 명저 병학지남(兵學指南) 언해본류의 다종서체(多種書體)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Diverse Chirography in Korean Annotation Version of Byeonghakjinam,a Masterpiece in Jose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7.03
38P 미리보기
18세기 조선의 명저 병학지남(兵學指南) 언해본류의 다종서체(多種書體)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30호 / 99 ~ 136페이지
    · 저자명 : 박정숙

    초록

    조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북방과 남왜의 침략에 따른 전법을 달라야 했고 지역에 따라 달라야함에 따라 일률적인 전법은 무리라고 여기게 되었다. 이에 상응하여 무술과 전략이 대상과 지역의 실정에 맞는 새로운 병법서의 간행이 시급해졌으며,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병학지남』을 각 지방으로 보내어 그곳에 맞는 전법만을 간추려 언해하여 연병에 사용한 수많은 이판본 『병학지남』이 간행되었다. 그동안 알려진 『병학지남(兵學指南)』은 108종 [이진호(2009),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병학지남 참조]이나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 약 10~20종의 대강〔大綱〕으로 정리되었다.
    본고에서는 여러 이본 중에서 서체의 조형적 특징이 뚜렷하고 각 지방에서 간행된 판본 중에서 10종을 선정하여 『병학지남』 언해본류의 다종적(多種的) 서체 형성의 근원과 17~18세기의 유행했던 판본류의 서체적 특징을 탐색하였으며, 여러 판본서체 중에서 서체미가 가장 뛰어난 것을 선별하여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10종 판본을 분석한 결과로, 각 지방에서 복각된 『남원영판』, ?강희묵서본』, 『별후영판』 등의 언해문 서체는 서울에서 간행된 『규장각정미본』과 『훈련도감판』에 비해서 자형이 정제되지 않고 배자나 배행이 정연하지 못하여 서체미가 뒤떨어짐을 볼 수 있다. 이는 서울 교서관에서 활자본으로 인출하여 지방으로 보내면, 지방 관아에서 목판에 복각하여 간행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배행방식에서 한문 원문 뒤에 한글로 언해한 이유로 인해 자체의 미감보다는 한 행 속에 많은 문자를 넣으려는 의도로 인해서 초중종성의 형태별 요소미가 확연하지 못한 결과를 볼 수 있다. 10종 판본 중 『병학지남육조언해』는 한자 하나하나에 음을 달아 한문을 모르는 초학자용으로 만들었으며, ‘병학’을 ‘병ᄒᆡᆨ’으로 표기하는 등 방언을 사용한 흔적도 있다. 그리고 내륙지방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수조정식」 언해는 빠지게 된 특색도 볼 수 있어 각 지방의 실정에 맞게 언해하여 만든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상 10종의 판본서체의 조형미는, 정조가 직접 지시하여 만든 고딕체형인 『규장각정미본』이 가장 엄중한 정연미를 보이고 있으며, 서체와 배자방법이 가장 뛰어난 것은 서울 훈련도감에서 만든 『훈련도감본』이 가장 아름다운 조형미로 꼽을 수 있다. 또한 특이한 자형을 응용할 판종으로는 『별후영판』이 있다.

    영어초록

    After experienc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Joseon realized they would need various tactics depending on the enemy or the region. It was urgent for them to publish the book of tactics, so the government sent Byeonghakjinam to each province and made them extract the contents they needed and translate into Korean. Therefore, many Korean annotation versions of Byeonghakjinam have been published. There were 108 versions of Byeonghakjinam, but about 10 to 20 versions have been selected by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selected 10 Korean annotation versions of Byeonghakjinam, that have distinct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hirography. And it identified the origin of formation of various chirograph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rography used for woodblock-printing which was popular between 17 to 18 centuries. Moreover, it suggested application plans for the chirograph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hirography of Namwonyeongpan, Ganghuimukseobon and Byeolhuyeongpan, that were published in local government offices, were less beautiful than those of Gyujanggak-jeongmibon and Hullyeondogampan, that were published in Seoul due to irregularity and disarrangement. This might have happened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office carved again and reprinted with the book which the government published and sent. Especially, since they put Korean annotation next to Chinese original text, they intended to put as many characters as possible on each page rather than pursuing the beauty of chirography.
    Among them, the most unique version was Byeonghakjinam-yukjoeonhae published in Daegujin. Its size was the same as Sipgusaryak-eonhae published in Daegujin, but it might have been published for those who did not know Chinese characters because it gave the read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in Korean. Also, it included regional dialects. For example, it said ‘Byeonhaek(병ᄒᆡᆨ)’, which was a regional dialect of Daegu, instead of ‘Byenghak(병학)’. In addition, it did not include Korean annotation of Sujojeongsik, which the province did not need, so we could know that it was published for the need of the province.
    Among the 10 wood-block printing chirography, the chirography of Gyujanggak-jeongmibon, which was published by King Jeongjo, was the most regular and had a rigorous beauty, and the chirography of Hullyeondogambon was the most arranged and had the most beautiful formative aesthetics. Also, the chirography of Byeolhuyeongpan was very unique, so we could apply this to calligraphic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