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 방언의 결과상/진행상표지의 변이 유형과 발전 기제 -동사에 후행하는 ‘着’류와 ‘在’류 형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Variations of Resultative/Progressive Aspect Markers in Chinese Dialects and their Developmental Mechanism from Linguistic Typological Perspectiv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9.03
28P 미리보기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 방언의 결과상/진행상표지의 변이 유형과 발전 기제 -동사에 후행하는 ‘着’류와 ‘在’류 형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75호 / 87 ~ 114페이지
    · 저자명 : 박정구, 유수경, 강병규

    초록

    본고에서는 중국의 153개의 방언에서 동사 뒤에 부가되는 ‘着’류와 ‘在’류를 중심으로 결과상/진행상 표지의 변이 유형을 조사, 분류하고 그 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표준중국어에서 ‘着’와 ‘在’가 분포 및 기능적인 면에서 비대칭성을 보이거나 용법이 중복되는 현상은 비단 표준중국어만의 현상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방언에 따라서 하나의 표지가 결과상과 진행상의 기능으로 모두 쓰이는 경우로부터 여러 개의 표지가 공존하는 경우까지 아주 다양한 유형의 상 체계가 존재함을 고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상적 체계는 일정한 제약 하에 규칙성을 갖고 있으며, 상 표지의 문법화가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인간 언어의 보편적 발전 경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방언에 따라서 ‘着’는 동작 후 상태의 지속, 즉 결과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결과보어로부터 문법화하였고, 적지 않은 방언에서는 다시 은유적 의미 확장을 통해서 동작의 진행을 나타내는 상표지로 발전하였다. 표준중국어에서의 ‘着’가 상태의 지속과 동작의 진행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在’가 동사의 뒤에 쓰이는 방언에서, ‘在’는 동작 후 상태의 지속을 나타낸다. 방언에 따라서는 ‘在’ 뒤에 처소구가 후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在’는 상태 지속을 나타내는 ‘着’와 기능적으로 동일 혹은 유사한 상적 표지로 볼 수 있다. 표준중국어에서 ‘在吃饭呢’와 ‘吃着饭呢’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도 문법화 과정을 통해 두 표지가 동일한 상 범주로 층위화된 것이다.
    방언에서는 부착의 의미를 가진 동사에 기원하는 ‘着’류 표지는 모두 동사의 뒤에만 부가되고, ‘在’류는 동사의 앞뿐만 아니라 동사의 뒤에 부가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는 구조, 의미적 제약에 의한 것이다. 동사 뒤에 부가되는 ‘着’와 ‘在’는 모두 시간 순서 규칙을 준수하여 앞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 이후에 사람이나 사물의 존재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동사 앞에 부가되는 ‘在’는 전체 동사구를 목적어로 취하는 주요 동사로부터 문법화 될 수 있었지만 이에 대해서는 박정구 외(2018) 참조.
    , ‘着’는 그러한 구조적 기원을 가지기에는 부적합했다.
    본고는 중국어 방언에서 ‘着’류와 ‘在’류의 특성을 조사, 분류하고 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면서, 중국어 각 방언에서의 다양한 상적 유형과 체계를 고찰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경험적인 증거와 이론적 근거를 통해서 방언에서의 복잡하고 다양한 상적 유형과 그 발전이 언어유형적인 보편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variations of resultative and progressive aspect makers in 153 Chinese dialects corresponding to ‘zhe(着)’ and ‘zai(在)’ following the verbs in Mandari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various asymmetrical phenomena of ‘zhe(着)’ and ‘zai(在)’ in terms of their distributions, functions or usage overlapping, an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aspectual systems in different dialects: the same form can function as a resultative aspect or a progressive aspect while several different forms in a dialect can have the same aspectual function.
    In Chinese dialects, ‘zhe(着)’-type markers commonly indicate a state resulting from a preceding action, referred to as ‘resultative aspect’. They are grammaticalized from the verbal complement, and in many Chinese dialects ‘zhe(着)’-type markers are developed to progressive aspect makers through metaphoric semantic expansion. It’s why many dialects including Mandarin have ‘zhe(着)’-type markers indicating stative resultative meaning and active progressive meaning.
    In many Chinese dialects, ‘zai(在)’-type markers following verbs denote the state resulting from action. In some dialects, there may be cases that ‘zai(在)’-type markers are not followed by the locative phrases. It shows that ‘zai(在)’ can be regarded as an resultative aspect maker functionally equivalent to ‘zhe(着)’. In Mandarin, “Zai chifan ne(在吃饭呢)” and “Chi zhe fan ne(吃着饭呢)” have similar aspectual meanings which are layered into the same aspectual category through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In Chinese dialects, ‘zhe(着)’-type markers which are grammaticalized from the verb with the meaning of ‘attachment’ always follow verbs, whereas ‘zai(在)’-type markers can either precede verbs or follow verbs. It is due to the structural and semantic constraints. Both ‘zhe(着)’ and ‘zai(在)’ preceded by a verb follows the Principle of Temporal Sequence. But ‘zai(在)’ preceding a verb is grammaticalized from the verb that took the whole verb phrase as its object, while ‘zhe(着)’ can not have such a structural origin.
    In this paper, we have classified and analyzed the various aspectual types and systems of ‘zhe(着)’ and ‘zai(在)’ in Chinese dialects. This study on the resultative aspect and progressive aspect with empirical evidence and theoretical explanation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aspectual system has been following the universal tendency of human language evolution along the path of grammaticalization of aspect mar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