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아의 부정 대상-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 (The Object of Negation in Selflessness: Centered on the Mādhyamika-Prāsaṅgik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3.06
32P 미리보기
무아의 부정 대상-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7호 / 65 ~ 96페이지
    · 저자명 : 한은정

    초록

    붓다는 주로 인간의 고통의 원인과 그것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한다. 4성제를 통해 고통과 고통의 원인,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해서 말한다. 그 고통의 근본 원인이 我와 我所執이라는 것이다. 고통이 제거된 궁극적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我相, 我執이라는 무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 我에 대한 바른 인식인 무아론은 불교도와 비불교도를 구분 짓는 경계 지표가 되며 그만큼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無我는 我를 전제한 개념이다. 그렇다면 먼저 ‘무아’라고 할 때 부정하고 있는 대상인 我가 무엇인지부터 정확히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불교 4대학파 중에서도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무아의 부정 대상(否定對象, pratiṣedhya, dgag bya)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머지 학파들은 부정하는 것 외에 긍정 대상을 남겨두고 있지만 귀류논증 중관학파는 我와 自性을 동일시 함으로써 그 어떠한 긍정의 대상도 남기지 않는다.
    거친 무아에서 미세한 무아로의 단계를 밟아 나가면서 그 부정 대상을 살펴볼 것이다. 일단, 불교도는 공히 외도가 주장하는 오온 밖의 독립적인 ‘常一主宰的자아’는 인정하지 않는다. 불교 4대 학파로 들어오면, 人無我(我空)와 法無我(法空)의 두 가지 무아 중 유부와 경량부는 인무아만 인정하고 법무아는 인정하지 않는다. 인무아를 통한 我와 我所만을 부정하고 있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제외한 나머지 학파인 유식학파와 자립논증 중관학파에서는 인무아에서 부정하는 대상은 ‘보특가라(pudgala)’이고 법무아에서는 오온과 식 등 각각 긍정하는 대상을 남겨둔다.
    귀류논증 중관학파는 我와 自性을 동일한 것으로 보고 無我를 無自性으로 파악한다. 인무아에서는 ‘我’의 자성, 법무아에서는 ‘오온’의 자성을 부정함으로써 어떠한 대상도 긍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유식학파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외경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성은 없지만 연기적으로 名言成立함을 인정하고 있다.
    무아는 부정하고 있는 ‘아’의 대상을 철저히 파악함으로써 그 의미가 명확히 드러나므로 본고는 특히 어떠한 긍정 대상도 남기지 않는 귀류논증 중관학파를 중심으로 무아의 부정 대상을 파악하고, 그들이 취하는 무아=무자성의 개념과 연기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무아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드러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Buddha mainly preached about the cause of human suffering and how to get rid of it. Through the Four Noble Truths, the Buddha explicates about suffering, the cause of suffering, the way to get out of suffering, and the result of the practice. The root cause of the pain is grasping in the self and the attachment to the self. In order to reach eternal and ultimate happiness, one must accurately grasp self as ignorance. The theory of selflessness, the right perception as to the self, has pivotal implication as it is the boundary indicator that separates Buddhist philosophy from non-Buddhists.
    Selflessness is a concept that presupposes the concept of self. Thu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what is the self―the object of the negation―in the begin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object of denial of self centering on Mādhyamika―and particularly the Consequence School(Mādhyamika-Prāsaṅgika, dbu ma-thal gyur pa)―among the four schools of Buddhism. By identifying the self with self-nature, the Consequence School allows no substantiality for affirmation while the rest of the Buddhist schools accept existence of substantial objects.
    We will look at the object of negation as we step through the steps from rough selflessness to fine selflessness. First of all, entire Buddhists do not acknowledge the independent ‘the permanent and omni-present self’ outside the five aggregates that non-Buddhists insists on. If you enter the four major schools of Buddhism, of the two types of selflessness, selflessness of person but not selflessness of things, the Sarvāstivādin and Sautrāntika recognize the selflessness of person but not the selflessness of things. They are denying only my self and my knowledge through selflessness of person. Except for the Consequence School, the Cittamātra school and the Autonomy School(Mādhyamika-Svātantrika, dbu ma-rang rgyud pa), the object that is denied in the selflessness of person is ‘pudgala’, and the object that is affirmed in the selflessness of things, such as the five aggregates and consciousness, are left behind.
    The Consequence School regards the self and the self-nature as the same and understands the selflessness as the no self-nature. By denying the self-nature of 'self' in the selflessness of person and the self-nature of 'five aggregates' in the selflessness of things, no object is affirmed. However, it does not deny the external things as object of perception as asserted by the Cittamātra school, but rather admits that they are causally established things as a name although they no self-nature.
    Since the meaning of selflessness is clearly revealed by thoroughly grasping the object of 'self' that is being denied, this paper identifies the object of negation of selflessness, especially centered on the Consequence School, which leaves no positive object behin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selflessness = no self-nature they take and pratītyasamutpāda, the concept of selflessness is more clearly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