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국시기 중국 ‘촌치(村治)’론의 형성과 확산: 뤼전위(吕振羽)의 ‘촌치파(村治派)’ 활동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the Diffusion of the Thought of “Village Governance” in China in the Period of the Republic of China: Focusing on Lu Zhenyu’s “Village Governance” Activiti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민국시기 중국 ‘촌치(村治)’론의 형성과 확산: 뤼전위(吕振羽)의 ‘촌치파(村治派)’ 활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중관계연구 / 10권 / 2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최은진

    초록

    본고는 촌민자치를 의미하는 ‘촌치(村治)’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고 『촌치월간』 잡지를 통해 촌치를 전파하고자 했던 촌치파의 초기 주요 인물이자 『촌치월간』의 최초 편집자였던 뤼전위(吕振羽, 1900-1980)를 중심으로 촌치파의 지적 흐름의 계보와 특징을 밝혀 본 것이다. 이를 통해 촌치파로서의 전력은 크게 주목받지 못한 채 5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서만 조망된 그의 ‘촌치’론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촌치파 활동에 대해서도 마르크스주의자로 전향한 것을 분석하는 데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삼민주의자로서 특히 국민당 개조파의 입장을 취했던 점을 그의 『촌치월간』의 글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의 촌치파 사상이 마르크스주의적 인민자치관이 내재한 것 보다는 국민당 개조파의 민주주의의 특징이 더 강하다는 것을 살펴 보았으며 국민당과 국민정부의 혁명의 완수를 추동하기 위해 촌치파 활동에 주력했던 것도 드러내 보았다. 그러므로 촌치파에서 주요한 활동을 했던 뤼전위를 통해 촌치파가 1920년대 국민혁명의 민주주의를 계승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정치민주주의는 1930년대 새로운 정세의 변화에 따라 다른 갈래로 나뉘어짐을 드러내 보았다. 1920년대의 ‘촌치’론은 결국 남경국민정부시기 문화보수주의적인 량수밍의 주장과 마르크스주의자로 나아간 뤼전위의 분화를 낳았음도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촌치파의 활동은 1920년대의 국민혁명과 1930년대 향촌건설운동을 이어주는 역사적 의미가 있고 뤼전위의 활동은 국민혁명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한 모색의 양태를 보여주었던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촌치파의 활동과 그 사상은 민국 시기 중국의 사회변화와 국가 형성의 과정 속에서 서구의 민주주의를 중국에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의 문제와 근대의 문제를 농촌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적 차원에서의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 지식인들의 노력이 촌치파 활동이며 이것이 촌치파 활동과 사상의 역사적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genealogy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ectual flow of the Village Governance School, focusing on Lu Zhenyu(吕振羽, 1900-1980), one of the early major figures of the school. He was the first to use the term ‘Village Governance(村治)', which means 'village autonomy', and as the first editor of 『Village Governance Monthly』, he tried to widely promote the concept of Village Governance.
    Previous studies on his thoughts tended to focus mainly on his status as one of the five major Marxist historians. Illuminating his early thoughts on village governance made it possible to examine his thoughts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Although he eventually converted to Marxism, it is confirmed through his contributions to the 『Village Governance Monthly』 that during his activities in the Village Governance School, he took the stance to reform the Kuominta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ree People’s Principles. In his thoughts on village govern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uomintang reform faction which stressed political democracy are more evident than the Marxist view of people's autonomy, and that he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the village governance to give an impetus to the completion of the revolution of the Kuomintang and the National Government. Therefore, due to the existence of Lu Zhenyu who’s one of major figure of the Village Governance School, it could be said that the Village Governance School was ideologically close to the movement to the succession of political democracy of the National Revolution in the 1920s. This attitude toward Western political democracy led to the division of the Village Governance School in accordance with political changes in the 1930s, and we’ve witnessed Liang Shuming’s cultural conservative arguments under the Nanjing National Government and Lu Zhenyu’s slant toward Marxism.
    Theref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ctivities of the Village Governance School can be found in connecting the National Revolution in the 1920s and the rural construction movement in the 1930s. In this regard, Lu Zhenyu’s activities can be evaluated to show a pattern of seeking a new breakthrough for the National Revolution. In other words, the activities and ideas of the Village Governance School demonstrate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political democracy in China during the turbulent period of the Republic of china's social change and state formation. In conclusion, The efforts of intellectuals to prepare solutions at the local level, focusing on rural areas, for China's inherent problems and new problems arising from the conflict with modern times were the activities of Village Governance School,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also lies t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