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적 정체성 형성과 구약 성서의‘룻과 나오미’ 이야기 해석 - Ricoeur의 미메시스 이론을 중심으로 - (An Interpretation of ‘Ruth and Naomi’ in the Old Testament for a Subjective Identity Form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 A Focus on Paul Ricoeur’s Mimesis Theory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6.02
21P 미리보기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적 정체성 형성과 구약 성서의‘룻과 나오미’ 이야기 해석 - Ricoeur의 미메시스 이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22권 / 1호 / 287 ~ 307페이지
    · 저자명 : 변경원

    초록

    199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결혼이주여성들은 ‘이주민’과 ‘며느리’라는 두 가지 삶의 자리를감당해야 하는 현실과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직면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은 기존의 정체성과새롭게 요청되는 정체성의 충돌로 인해 혼란에 빠지게 된다.
    결혼이주여성들의 정체성에 관해 지금까지 진행된 학술적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질수 있다. 하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사회로의 동화를 위한 정책 및 교류 방안 등에 대한 논의이다. 다른 하나는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을 소수자 또는 사회적 약자로 접근해 들어가는 것이다. 이 둘 모두 결혼이주여성을 주체로 보는 관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본 논문은 결혼이주여성의 ‘주체’로서의 정체성 형성 방향을 프랑스의 철학자 Paul Ricoeur의‘이야기(서술적) 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전개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주체적 정체성은 ‘반성적 정체성’이다. 반성적 정체성이란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답하는 것이다. Ricoeur는 내가 누구인가를 묻는 정체성은 ‘서술적 정체성’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Ricoeur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나오는 미메시스 개념을 사용하여 이야기 정체성의 확보를 시도한다. 그는 미메시스를 확장하여 미메시스 I, II, III 으로 나눈다. 허구이야기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미메시스 II는 상류의 미메시스I과 하류의 미메시스 III을 연결하는 매개의 구실을한다. Ricoeur의 미메시스 이론에서 자아 정체성이 형성되는 지점은 미메시스 III이 된다.
    룻기는 교회의 설교와 신학적 담론에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이다. 하나는 룻의 시어머니에 대한 봉양을 강조하는 가부장적 해석이며, 다른 하나는 룻과 나오미의 여성적 연대를 강조하는 여성신학적 해석이다. 이 두 해석은 서로 갈등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해석들 사이의 갈등이 벌어지는 곳에서 룻과 나오미의 이야기를 읽거나 듣는 독자는그 해석을 어떻게 수용해야 하는가의 결정 속에서 자기이해가 가능하다. 이렇게 자기이해를 확보한 인간은 자율적 의지에 따른 새로운 행위주체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결혼이주여성들이룻과 나오미의 이야기를 통해 주체적 정체성을 형성할 가능성이 여기서 열린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Recently Korea is confronted with the phenomenological advent toward the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society’ refers to a society in which the boundaries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becomes weak. Since 1990 the number of immigrant women who have come to Korea has increased.
    Academic researches about the identity of immigrant women are divided into two fields. First, it is related with the assimilationism of immigrant women. In this area the immigrant women are regarded as the object of assimilation. Second, the scholars categorizes immigrant women as 'the others' or 'social minority'. They insisted that the immigration policy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However, these two approaches do not treat the immigrant women as a ‘subject’. In this article I will establish the identity of immigrant women as a 'subjec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will investigate the concept of Paul Ricoeur's ‘narrative identity’.
    ‘Narrative identity’ is the method that relates narrative and life. If it is possible to make a configuration of life into a narrative, then life can be understood by the refiguration of the narrative. According to Ricoeur, to state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means to answer the questions of “Who did this?” and “Who is the agent, the auth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o?', it has to be not merely a proper name, but “has to be narrative.” In this perspective, to answer the question, "Who are the immigrant women?" is to make a narrative and to interpret it. Through making and interpreting the narrative, the immigrant women can acquire a ‘self-understanding’ before the text as a narrative.
    In this article, the story of “Ruth and Naomi” in the Old Testament is analyzed through Ricoeur's theory of mimesis I, II, III for the purpose of narrative understanding of the story.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story of “Ruth and Naomi” the immigrant women meet various kinds of interpretation of the story. There are conflicts between interpretations.
    Between the conflict of interpretations, the immigrant women do not need to choose one of them for the formation of identity.
    To make the formation of identity, immigrant women need to reach a ‘'self-understanding’ before the text as a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