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적 마조히즘의 정치적 가능성: 루 안드레아스-살로메의 『어떤 탈선』에 대한 고찰 (The Political Possibilities of Feminine Masochism: With Regard to Eine Ausschweifung of Lou Andreas-Salomé)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11
24P 미리보기
여성적 마조히즘의 정치적 가능성: 루 안드레아스-살로메의 『어떤 탈선』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이론 / 43호 / 459 ~ 482페이지
    · 저자명 : 전유정

    초록

    루 안드레아스-살로메(Lou Andreas-Salomé, 1861-1937)는 문학과 지성사가 주목한 남성들의 대표적인 ‘뮤즈’나 ‘팜므 파탈’의 이미지로 기억되는 여성이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 파울 레에, 프리드리히 니체 등이 강렬히 열망했던 여인이자 프로이트로부터 인정받은 첫 여성 제자라는 측면만이 주로 부각되어 왔던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이와 같은 한정된 틀로 살로메를 가두어 왔던 정형화된시각으로부터 벗어나, 그녀의 여러 저작들이 젠더 연구의 업적으로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입장에서 논의를 전개해 나갈 것이다. 무엇보다 살로메는철학은 물론 정신분석에 관심을 갖고 활발하게 연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결과들을 반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글쓰기를 시도하였기 때문이다. 그녀의 여러 저작들 중 본고는 소설 『어떤 탈선』(Eine Ausschweifung, 1898)을 중심으로‘여성적 마조히즘’에 대하여 고찰하려 한다.
    본고의 주요 대상인 『어떤 탈선』의 주인공 아디네(Adine)는 베노(Benno)를‘이상적 사랑’으로 규정하고 그에게 절대적으로 종속되기를 원한다. 뿐만 아니라 본인의 타고난 기질이라고 볼 수 있는 예술가적 재능을 그와의 결혼을 위해서 억누르고, 자신을 기꺼이 포기하기를 열망한다. 모순적이게도 자신을 포기함으로써 새롭게 그리고 확실하게 태어나기를 시도하려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교육학적 자극을 제공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자기를 포기하고 남성에게 종속되는 것은 여성들에게 있어 거듭 강요되는 삶의 태도이자 생존전략으로서 중요하다는 것을 이 작품은 인지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가부장제의 젠더 위계를 내면화함으로써 포기된 여성의 자아는, 역설적이게도 자신만의 고유성을인식하는 계기를 만들어 낸다. 살로메의 작품은 바로 이러한 모순적이고도 분열적인 여성의 ‘자아포기를 통한 자아획득의 과정’을 당대의 사회적 한계에도불구하고 문학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노력하였기에, 한 세기가 지난 이 시점에서도 연구해볼 만한 문화적 산물인 것이다. 『어떤 탈선』이 탄생한 시기는 물론, 이 작품의 집필 이후에 작가의 행보는정신분석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그렇기에 정신분석학적 시각이 살로메의 작품을 읽기 위하여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물론정신분석의 성차에 대한 이분법적 한계는 여성적 마조히즘의 정치적 가능성에심층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나 그 걸림돌이 다양한 후속 연구를발전시켰다는 입장에서 본고는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현재까지 진행된 여성적 마조히즘과 관련된 축적된 논의들과 함께 살로메의 소설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정치적 가능성에 대한 통시적, 공시적 관점을 보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Lou Andreas-Salomé (1861-1937) is a woman who is remembered as an image of men’s representative muse or femme fatale that literature and intellectual history have paid attention to. However, this paper will break away from the stereotyped view that has confined Salome in such a limited frame, and will develop a discussion from the standpoint that her various works are of sufficient value as an achievement in gender research. Above all, Salome was interested in not only philosophy but also psychoanalysis. Among her many work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feminine masochism” focusing on the novel Eine Ausschweifung (1898).
    Adine, the main character of Eine Ausschweifung, defines Benno as ‘ideal love’ and wants to be absolutely subordinate to him. Not only that, she suppresses her artistic talent, which can be seen as her innate temperament, in order to marry him, and through this she aspires to willingly give up on herself.
    Paradoxically, she is trying to be born anew and surely by giving up on herself.
    It also provides a kind of educational stimulus. This is because this work makes us realize that giving up on oneself and being subordinated is important as an attitude of life that is repeatedly forced on women and an important survival strate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 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