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쓰기 용서치료가 대인외상경험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rgiveness Therapy Through Writing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Sufferers of Interpersonal Traum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0.02
25P 미리보기
글쓰기 용서치료가 대인외상경험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임상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29권 / 1호 / 83 ~ 107페이지
    · 저자명 : 박효정, 홍창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글쓰기를 통한 용서치료가 대인과 관련된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대인외상을 경험하였고, 동시에 PTSD 증상을 가진 33명의 대학생을 용서치료 글쓰기 집단, 자기노출 글쓰기 집단, 대기통제집단의 세 조건에 무선할당 하였다. 두 글쓰기 집단은 5회에 걸쳐 20∼30분간 해당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였고, 세 집단 모두에게 용서 정도, 심리적 적응 정도(상태/특성분노, 수치심, 희망, 자존감), 증상심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 직후, 추후검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용서 정도에 있어서는 용서치료 글쓰기 집단의 전체/정서적 용서 정도가 두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행동적/인지적 용서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적응 정도에서는 용서치료 글쓰기 집단이 자기노출 글쓰기 집단에 비해 특성분노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용서치료 글쓰기 집단의 상태분노가 직후 시기에 상당히 감소하였다. 또한 용서치료 글쓰기 집단이 두 비교집단에 비해 수치심이 감소하는 양상이었으며, 두 글쓰기 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희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자존감에서는 집단 간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증상심각도에 있어서는 용서치료 글쓰기 집단이 자기노출 글쓰기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고 대기통제집단에 비해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글쓰기 동안의 심리내적 변화를 살피기 위한 글분석 결과, 용서치료 글쓰기 집단에게서 공감적 이해, 정적 정서 및 고차원적 사고가 촉진되고, 부적 정서가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글쓰기 용서치료는 대인외상경험자의 심리적 적응에 효과적인 도구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giveness intervention through writing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individuals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Thirty-three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had exhibited PTSD symptom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forgiveness therapy (FT) writing group, self-disclosure (SD) writing group, and waiting-list control group. Each of two writing groups wrote about their traumatic experience five times, each lasting 20~30 minutes.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forgiveness toward offender, trait-state anger, shame, hope, self-esteem, and symptom severity and were measured three times: before, after, and a couple of weeks after writing sessions. Further, internal psychological changes over the five writing sessions examined using the Korean Linguistic Inquiry and Word Count. Results indicated that the FT writing group gained significantly more than both the SD writ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otal/emotional forgiveness. The FT writing group also exhibited a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 of behavioral/cognitive forgivenes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T writing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SD writing group with respect to trait anger, and the FT writing group also showed considerable reductions in state anger at a post-test, as well as a reduction in shame 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Both writing groups exhibited a trend toward improvement in hope compared with controls. With respect to self-estee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y group. Further, the FT writing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SD writing group in terms of PTSD symptoms. Additionally, writing samples from the FT writing group included significantly more words related to empathy, positive/negative emotion, and metaphysical issues than those from the SD writing group. In conclusion, the forgiveness therapy through writing considers as an effective method in term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of sufferers of interpersonal trauma.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have been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