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식전환’의 심리치료적 의미: 유식학과 대상관계론을 중심으로 (Psychotherapeutic Meaning of ‘Conversion of Perception’: Focus on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02
16P 미리보기
‘인식전환’의 심리치료적 의미: 유식학과 대상관계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사회 21
    · 수록지 정보 : 인문사회 21 / 12권 / 1호 / 2335 ~ 2350페이지
    · 저자명 : 안환기

    초록

    본 논문은 인간의 심리현상인 ‘인식전환’이 의미하는 바를 심리치료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이것은 마음의 병리 현상이 내적 ‘이미지’를 고착화하는 데 있다고 보고, 그 치료방법으로 ‘인식의 전환’에 주목한 유식학과 대상관계론의 해석을 비교・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식학에서 내적 ‘이미지’는 마음이 인식주관과 인식대상으로 나누어지면서 생겨난다. 인식주체가 ‘이미지’를 집착하면서 번뇌가 생겨난다는 입장이다. 그렇지만 ‘이미지’에 집착하는 인식의 작용은 수행을 통해 근본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대상관계론은 유아기에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불안했던 경험들이 굳어져서 생긴 내적 ‘이미지’가 어른이 되어도 반복적으로 재현되어 건강한 생활을 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고 본다. 하지만 상담치료를 통해 ‘이미지’에 대한 ‘인식전환’이 가능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두 이론은 기원이 다르고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지만, 모두 마음에 떠오른 ‘이미지’를 정확히 통찰하고 그것에 대해 집착하지 않는 것이 건강한 심리작용이며, 이러한 현상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새롭게 시도한 이 연구를 기반으로 더욱 확장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in terms of psychotherapy what ‘conversion of perception,’ a human psychological phenomenon, means. This is done in a way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interpretation of Yogācāra Buddhism and Object Relations Theory, which pay attention to the ‘conversion of perception’ as a treatment method because they regard that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the mind comes from obsessing the inner ‘image.’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said that the inner ‘image’ arises when the mind is divided into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the object of that in Yogācāra Buddhism. Yogācāra Buddhists say that anguish arises when the subject of perception is obsessed with ‘image.’ But they argue that the action of perception that is obsessed with ‘image’ can be fundamentally transformed through practice. Second, in Object Relations Theory, it is said that the internal ‘image’ caused by the unstable relationship with mother in infancy is repeatedly reproduced even when it grows into an adult and results in a factor that prevents him from living a healthy life. However, the Object Relations Theory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erception of ‘image’ through counseling treatment. In conclusion, although the two theories have different origins and different languages, they all show that it is a healthy psychological action to accurately insight the ‘image’ in mind and not to obsess over it, and that this can be done by ‘conversion of perception.’ Based on this newly attempted study, I hope that further expanded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사회 21”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