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거기반실천과 심리치료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therap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3.03
20P 미리보기
근거기반실천과 심리치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2권 / 1호 / 251 ~ 270페이지
    · 저자명 : 임민경, 이지혜, 이한나, 김태동, 최기홍

    초록

    심리학에서의 근거기반실천(Evidence-based practice)이란 “연구를 통해 증거가 확보된 심리치료를, 임상적으로 숙련된 치료자가, 환자의 필요, 가치와 선호 등의 맥락을 고려하여 내담자에게 적용하는”(APA Presidential Task Force on Evidence-Based Practice, 2006) 의사 결정 과정이며, 궁극적으로 증거를 기반으로 한 심리측정, 사례개념화, 치료관계와 개입 등 통합적 접근을 통해 심리학적 치료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공중보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제안되었다(APA, 2006). 경험적으로 지지된 심리치료(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패러다임 이후, 최선의 심리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료의 효능(efficacy) 뿐 아니라 다른 요소들 (즉, 내담자의 선호 및 가치, 임상적 전문성)이 통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 결과, 더욱 통합적 패러다임인 증거기반실천 운동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미국 및 영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에서 근거기반실천으로의 이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관 논문에서는 근거기반실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한국에서의 근거기반실천 시행에 기여하기 위하여 (1) 근거기반실천의 정의 및 근거기반실천의 각 구성 요소를 소개하고 (2) 근거기반실천에 대한 흔한 오해를 개괄한 뒤 이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3) 근거기반실천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소개하였다.

    영어초록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EBPP) is defined as a “decision-making process of a therapist combining his/her clinical expertise and psychotherapy with best research evidence while keeping the client's needs, value and preference in mind”(APA Presidential Task Force on Evidence-Based Practice, 2006). This movement was suggested to increase the provision of effective psychological treatme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health through an integrative approach covering key service dimensions such as psychometric evaluation, case formulation, and working alliance(APA, 2006). Following the paradigm of 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there were criticisms and opinions calling for various important factors other than efficacy. As a result, a more integrative paradigm of evidence-based practice was introduced and now actively implement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the U.K. This review article aimed to promote understanding on evidence-based practice and facilitate evidence-based practice in Korea by (1) introducing the widely accepted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evidence-based practice, (2) providing answers to common misconceptions about evidence-based practice, and (3) making suggestions to implement evidence-based practice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