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디우 진리론에서 진리와 지식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ruth and Knowledge on the Badiou's Truth Theor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3.09
17P 미리보기
바디우 진리론에서 진리와 지식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5권 / 3호 / 21 ~ 37페이지
    · 저자명 : 목영해

    초록

    이 글은 바디우의 진리론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난점을 분석하고, 이 난점 해결에 있어 교육학이 해야 할 과제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바디우 진리론에 있어서, 진리와 지식의 관계를 담고 있는 서술은 ‘진리는 지식들에 구멍을 낸다’, ‘진리는 백과사전식 지식체를 재편케 한다’이라는 서술이며, 이 서술에는 ‘지식에 진리가 없다’와 ‘지식에 진리가 있다’는 모순된 견해가 각각 담겨 있으며, 이 모순은 ‘촉성’이라는 개념에 의해 해소된다. 그런데 바디우 진리론이 가지고 있는 이 모순은 촉성을 통해 해소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진리와 지식, 참과 진리성 간의 간격은 여전히 존재하여, 이 간격은 바디우 진리론을 교육학에 도입하는 데 있어 난점으로 작용한다. 이 난점의 해소를 위해서는 ‘상황–개입–사건–충실 - 진리’ 라는 진리생성과정 중 충실 활동의 개념 확장이 필요하며, 이 일에 있어서 진리 주체가 갖추어야 하는 태도와 능력을 구체화 하고, 이 태도와 능력을 진리 주체가 갖게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이 적절한가에 대한 연구가 교육학자들의 과제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th and knowledge on the Badiou’s truth theory, and to find out the way of going through predicament which the theory are in.
    Badiou is currently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holars, and his truth theory is being studied by persons which want to break down the relative truth theory across the world.
    In the Badiou’s theory, the true making process is 'situation - involvement(naming) - event - fidelity(inquiring) - true'.
    And the statements and verb that representative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th and the knowledge are ‘truth is a hole of knowledge’, ‘truth forces knowledges to be rearranged’ and ‘forcing’.
    The statement that is ‘truth is a hole of knowledge’ refers to that truth is not laid in the knowledge., and this argue is against the authentic principle of knowledge theory such as ‘the object of knowledge is true’.
    The statement that is ‘truth forces knowledges to be rearranged’ refers to that true is laid in knowledge.
    So, we find out that there is paradox between the two statement.
    The paradox is resolved with the forcing. The forcing is procedure which the operator takes truth in the future anterior and puts the true into the knowledge. Even though the knowledge comes to get the truth through the forcing, the truth after the forcing is a little away from the truth as ideal type. So educators comes to face problem that there is short on justification for educating which transmit the knowledge to students.
    Badiou who recognized problems of the forcing attempts to resolve the problem with focusing the fidelity in the true making process. But his ideas is not enough to come up with the problem.
    So if educators want to accept the Badiou’s theory in order to get good education, they need to seek the new justification for teaching knowledge within Badiou’s truth theory. And educators are able to accomplish this task by focusing true-subject’s attitude, will and 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