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子의 中和說 변천과정과 ‘敬’工夫論 (Procedural Changes of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he Theory of Jing(敬))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2.09
28P 미리보기
朱子의 中和說 변천과정과 ‘敬’工夫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48호 / 225 ~ 252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본 논문은 朱子의 中和說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후대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朱子는 中和舊說의 단계에서 道南學派로 내려오는 李侗의 학설을 무시하고, 張栻을 만나 湖湘學派의 ‘先察識後涵養’을 따르게 된다. 그는 李侗으로부터 修養法을 배웠지만 張栻과 만나 토론하면서 湖湘學派의 ‘先察識後涵養’의 方法論에 매료되게 된다. 이는 未發은 없고 모든 것이 發한 已發의 때만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中和新說의 단계에서는 中和舊說 때의 잘못을 깨닫고 다시 未發의 때를 중시하게 된다. 心․性․情의 관계도 心統性情이라는 것으로 적립하게 된다. 또한 胡宏의 ‘先察識後涵養’으로부터 벗어나 ‘敬’의 修養法을 내세운다. 이러한 修養 방법은 湖湘學派의 已發위주의 修養法에서 道南學派의 未發위주의 修養法으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완벽해 보이는 朱子의 中和說은 朝鮮에 들어와서 16세기 栗谷과 牛溪의 논쟁을 통해, 17세기 尤庵과 寓軒의 논쟁을 통해, 18세기 南塘과 巍巖의 湖洛論爭을 통해 다시 논의된다. 朱子의 中和說은 미비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논쟁을 겪게 된 것이다. 이러한 논쟁은 朱子의 中和說이 미비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벌어진 논쟁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writer examined the procedural changes of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and also investigated the evaluations thereof made by the later generations. In the stage of ZhongHeJiuShuo(中和舊說), Zhuzi(朱子) ignored the theory of Lidong(李侗), which was traditional theory argued by DaoNam School(道南學派). He met Zhangshi(張栻) of HuXiang School(湖湘學派) and followed the school’s philosophy, ‘XianChaShiHouHanYang(先察識後涵養)’, meaning what you should do first prior to making great efforts in self-cultivation is to examine the past, when desiring to know yourself. Even though Zhuzi(朱子) had learned the method of moral cultivation from Lidong(李侗), he was fascinated by such method of moral cultivation as ‘XianChaShiHouHanYang(先察識後涵養)’ advocated by HuXiang School(湖湘學派) through discussion with Zhangshi(張栻). This tells that he only recognized the fact that there were no achievements WeiFa(未發), but only the achievements YiFa(已發).
    In the stage of ZhongHeXinShuo(中和新說), he realized the mistakes committed in the time of ZhongHeJiuShuo(中和舊說), and put emphasis upon the achievements in the time WeiFa(未發). Zhuzi(朱子) had explained the relationships among mind, nature, and emotional bond as by his theory, ‘XinTongXingQing(心統性情)’, meaning that mind controls humans’ original nature. Also he followed self-cultivation of Respect, no longer believing the Huhong(胡宏)’s XianChaShiHouHanYang(先察識後涵養). Such a method of self-cultivation means that his method of moral cultivation centered on the achievements YiFa(已發), which was originated from HuXiang School(湖湘學派), had been changed into the method of moral cultivation with a focus on the achievements WeiFa(未發), which was theory argued by DaoNam School(道南學派).
    However,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that had seemed perfect began to be discussed and polished again during Joseon Period through the debates between Ligu(栗谷) and Niuxi(牛溪) in the 16th century, and through the debates between Youan(尤庵) and Yuxuan(寓軒) in the 17th century, also through the HuLuoLunZheng(湖洛論爭) represented by Nantang(南塘) and Weiyan(巍巖). Since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had some flaws, it had to put through such debates as mentioned above. Those debates were generated because imperfections were found in the theory of ZhongHe(中和) by Zhuzi(朱子).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