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현실태(心)에 대한 관계 설정을 놓고 전개되는 중화논변(中和論辯)에서 드러난다. 중화구설(中和舊說)에서 그는 현실과 이념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측면에 주목하여 현실은 이념 ... ), 이발(已發)과 심(心)이 동일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에서는 본체인 이념의 지위가 선(善)과 무관한 것이 되고, 현실적 모순에 대한 설명이 어려워진다.중화신설(中和新說
하여 그마음으로 도달할수 있는 어떤 경지도 아니며 구할수도 없는 것이다. 다만 이발처에 드러난 양심의 싹을 잘 살펴 보존하고 길러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이때의 입장을 중화구설(中和舊說 ... )이라고 한다. 그러나 주희는 나이 40세에 이르러 지금까지의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되는데, 이를 중화신설(中和新設)이라 한다. 중화신설은 이전에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