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龜峯 宋翼弼의 修養論 연구 (Study of Gubong Song Ik-pil's Self-Cultivation The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6.08
26P 미리보기
龜峯 宋翼弼의 修養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87호 / 37 ~ 62페이지
    · 저자명 : 진성수

    초록

    본 논문은 龜峰 宋翼弼의 수양론을 검토하기 위한 글이다. 개인사적으로 불행한 삶을 살았던 그가 어떻게 자신의 현실적 고난과 좌절을 극복하며 학문세계를 구축했는지, 이 과정에서 眞儒로서의 자세를 잃지 않기 위해 어떻게 자신을 수양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학의 理想과 전통적 선비관을 살펴보고, 조선조 선비들의 眞儒에 대한 논의를 검토했다. 또한 불행한 가족사와 현실적 좌절을 극복하기 위한 구봉 자신의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현실적 고난에 대한 선비의 태도와 내적 승화 과정을 조망해 보았다.
    구봉은 불합리한 신분제도와 불공평한 禮制로 인해 자신이 처한 불운한 상황을 詩로 승화시켜 정제된 언어로 내면의 平靜에 도달하고자 했다. 이렇게 볼 때, 구봉의 학문에서 禮論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 것은 불운한 인생을 통해 체험한 사회・제도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이었을 지도 모른다. 또한 儒學의 理想이자 선비가 학문하는 궁극적 목표인 修己治人 중 治人이 원천적으로 봉쇄된 상황에서 구봉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을 매우 제한적이었다. 결국 구봉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오로지 은둔으로 안정된 修己의 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無慾과 主靜의 수양을 실천하여 君子로서 知足하는 삶을 영위하는 것뿐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Gubong(龜峰) Song Ik-pil(宋翼弼)'s Self-Cultivation Theory. This paper examines how he who lived a miserable life overcame his agony and breakdown in life and established his own field of study and how he self-cultivated himself in order not to lose his attitude as a true scholar. For this purpose, the paper first looked into Confucianism's idealism and traditional view of scholars and reviewed the Chosun Dynasty scholars' discussion about what it means to be a true scholar(眞儒). Moreover, by exploring Gubong himself's own efforts to overcome unfortunate family history and real frustration he suffered, the paper presents scholar's attitude towards realistic hardship and internal sublimation process.
    Gubong strived to stay calm internally by sublimating his own situation he suffered due to irrational status system and unfair etiquette system by sublimating his poems and thereby reaching internal peace through refined language. In this respect, how etiquette system became an important part of his studies may have been one of the solutions for solving social and systemic contradictions that he experienced in his miserable life. Furthermore, in a situation where 'governing people'(治人) from 'governing people through self-cultivation'(修己治人), which is the ideal (理想) of Confucianism(儒學) and final goal of scholar's study, is fundamentally blocked, the options that Gubong can choose from was very restricted. The only option Gubong had was to prepare a stable space for self-cultivation by living in seclusion and through this, he practiced self-cultivation of no desire(無慾) and quietness(主靜) and tried to stay content about life(知足).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