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자 공부론의 형성 과정과 문제의식 (The formation process of Zu xi's theory of gongf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4
32P 미리보기
주자 공부론의 형성 과정과 문제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사학 / 31권 / 1호 / 111 ~ 142페이지
    · 저자명 : 황금중

    초록

    주자의 공부론의 형성 과정과 그 이면의 공부론적, 교육론적 문제의식에 대해 연평수학단계, 중화구설단계, 중화신설단계 및 그 이후 단계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평수학단계에서 중화신설단계까지의 미발(未發)․이발(已發) 공부에 대한 논의는 곧 공부의 근본이며 합리적 출발점으로서의 ‘본령공부(本領工夫)’에 대한 논의로서, 이는 중화신설에서는 미발과 이발을 관통하는 함양찰식 공부로서의 ‘경공부(敬工夫)’로 정리된다. 둘째, 중화신설에서 경의 본령공부와 더불어 공부의 다른 한 축으로 ‘격물치지(格物致知)’가 제시된다. 이는 경과 격물치지를 두 축으로 하는 정이천의 공부론적 명제의 재발견에 기인한다. 셋째, 주자는 평이하고 자연스러운 본령공부에 부응하는 안정성과 자율성을 갖춘 공부주체론을 구축해 가고자 했으며, 그 결과 중화신설단계에서 심통성정(心統性情), 성체정용(性體情用)의 심성론적 관점이 정립된다. 넷째, 중화신설의 공부론적 틀을 기저로 이후 공부론의 완성태가 도출되는데, 소학에서 대학으로 이어지는 공부과정론, 그리고 경을 바탕으로 지와 행이 병행되는 경․지․행의 공부과정론을 그 내용으로 한다. 다섯째, 이상의 공부론적 관점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통된 문제의식은 ‘하학이상달(下學而上達)’의 원칙에 충실한 공부론과 교육론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d to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 of Zu xi's theory of gongfu(工夫, self -cultivation or self-learning), focusing on the three critical changing stages. As a result, I found the following points. First, Zu xi had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benling-gongfu(本領工夫,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learning) of weifa․ifa (未發․已發, the psychic state prior to or after the rise of emotions) and he could find the ‘jing(敬, reverence)’ as benling-gongfu in the stage of his later theory about zhonghe(中和新說). Second, in the stage of his later theory about chung ho, Zu xi found not only jing(敬) but also gewuzhizhi(格物致知,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to the utmost) as the two axes of gongfu method. Third, from the theoretical, practical awareness about gongfu in the stage of his later theory about zhonghe, Zu xi completed the last theory of gongfu, that was characterized as “learning system that is from xiaoxue(小學, Elementary learning) to daxue(大學, Great learning)”, and as “learning system that is accomplishing the gongfu of zhi(知, knowing) and xing(行, practice), based on the gongfu of jing.” Fourth, the main motive leading these changes and completion of the theory of gongfu was the Zu xi's educational belief, xiaxue-er-shangda(下學而上達), that is, “gongfu should be started with near and daily life even though the aim is to understand and realize the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육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