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의 理自到과 스피노자의 자기원인(causa sui)-퇴계 理의 體用論과 스피노자의 실체/속성론 비교 (Li that approaches by itself in Toegye and Causa sui of Spinoz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6
30P 미리보기
퇴계의 理自到과 스피노자의 자기원인(causa sui)-퇴계 理의 體用論과 스피노자의 실체/속성론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22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이원진

    초록

    조선성리학에서 퇴계(退溪, 1501-1570)의 리발(理發), 리동(理動), 리자도(理自到) 개념은 성리학의 우주론(존재론)과 심성론(인식론-가치 론)에 넓게 걸쳐져 있는 독창적 개념이다. 理의 이동성을 둘러싼 퇴계 의 문제의식은 총 11년간 3번에 걸쳐 진화된다. 1559년 고봉 기대승 과의 四端七情論爭에서 理發개념을 처음 사용한 후, 1564년「심무체용 변」에서 理動개념, 이후 1570년에 이를 理自到라 명명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퇴계의 理動개념은 오늘날까지도 논란의 중심에 서 있으며 모 순 없이 혼용돼 쓰이지 못하고 있다.그런데 理의 이동성이라는 맥락은 네덜란드 철학자 스피노자(B. Spinoza, 1632-1677)의 자기원인(causa sui) 개념와 닮아 있다. 내재적 ⋅일의적인 실체, 자발적⋅능동적 작용인으로서의 실체를 그는 자기원인 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 두 개념을 비교하면 퇴계가 의도했던 理에 더 정확히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 퇴계가 體用論을 통해 無爲원칙을 어기 지 않으면서 理의 활동성을 밝히고자 했듯, 스피노자는 ‘속성(屬性, attributes)’이란 개념을 고안해 실체의 일원성을 어기지 않으면서 ‘사유’ 와 ‘연장’이라는 두 속성의 질서로 온갖 양태를 설명해낼 수 있었다. 이 런 설명방식에도 불구하고 스피노자의 ‘자기원인’ 개념이 밟아온 논란과 퇴계의 理自到가 겪어온 지난한 반박은 그 과정이 상당히 유사하다. 퇴계와 스피노자가 풀고자 한 문제는 결국 理, 또는 실체가 스스로 발 하거나 작용인이 될 수 있는가다. 이것이 밝혀져야 인간의 능동성과 자 유가 해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퇴계는『大學或問』에서 주자가 설파한 理 의 體用論중 ‘理必有用’을 종지로 삼아 주자보다 더 적극적으로 理自到 를 역설한다. 理의 用은 天命을 받은 性인데, 이는 퇴계가 하나의 원으 로 일의적인 우주를 그려냈던「天命圖」의 작가란 사실과 밀접하게 연결된 다. 스피노자 역시 데카르트가 제시했으나 내재적으로 설명해내지 못하 고 주춤했던 자기원인(causa sui) 개념을 실체에 과감하게 적용하며 내 재적⋅일의적⋅능동적인 우주를 설명해낸다. 퇴계의 理自到와 스피노자의 자기원인(causa sui)은 우주의 원리를 담 아 표현해내는 일원적이고 내재적인 리 또는 실체를 생동감있고 현행적 인 힘으로 묘사해내는 데 성공한다. 사상사적으로 여러 차이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개념은 이 점에서 비교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In the Chosun Confucianism, the concept of Li that manifest(理 動), Li that approaches by itself(lidao, 理自到) in T'oegye (1501-1570) is a unique one that widely spread from cosmology to theory of mind. However, Toegye's concept of Li that approaches by itself is still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and is not used without any contradiction. However, the context of ‘Li’ of Toegye seems to be similar to ‘the substance’ of the Dutch philosopher B. Spinoza(1632-1677), who lived close to similar times. Attributes are at the very heart of Spinoza's metaphysics. It is due to the relation of attributes to one another and to the one substance that an elegant resolution to the Cartesian mind–body problem. If it is possibleIf we compare Spinoza's attributes which furnish his monism with variety while preventing it from being an ephemeral, homogenous totality to practical operation of Li’(理之體用), we can reach more precisely what ‘Li’ of Toegye means. Because T'oegye also tried to reveal Li’s activity without violating the ‘principle of silence(無爲)’ through the use of ‘the Body of things and its practical operation of Li’(理之體用). In spite of this clear explanation, the process of the controversy that Spinoza used to define the substance of "Causa sui" and the process of controversy that T'oegye's theory has undergone are quite similar. The problem that Toegye and Spinoza try to solve is the question whether the substance can be self-emanating or functioning. Toegye is led and motivated by Koh Bong who introduced "Chu Hsi’s Question and Answers on the Great Learning", in which Li that approaches by itself(lidao, 理自到) is clearly expressed, and it urges him to underline more aggressively ‘the Body of things and its practical operation of Li’ (理之體用). He points out lidao(理到) about wuge(物格) in his epistemology. The whole system of Toegye's philosophy(His metaphysics and the theory of mind and heart) has its theoretical coherence since then. Spinoza is also bold enough to propose the concept of Causa sui, which Descartes presented fisrt but failed to fully explain, from the beginning of his masterpiece Ethica, explaining it in a more active and coherent way. As a result, T'oegye's Li that approaches by itself and the causa sui of Spinoza succeed in describing the unified and immanent reality that expresses the principle of the universe in a lively and current for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