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산 정약용의 역사의식과 경세론 (A Study on Dasan Jeong Yakyong'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Gyeongseolog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4.11
23P 미리보기
다산 정약용의 역사의식과 경세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41호 / 27 ~ 49페이지
    · 저자명 : 정성식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다산 정약용의 역사의식과 경세론을 탐구하는 데 있다. 정약용은 1789년 과거에 급제한 이후, 다양한 관직 생활을 경험하며 저명한 관리로 선정을 베풀었다. 하지만 정조가 죽고 난 이후 당쟁의 희생양이 되어 유배를 떠나게 되었다. 그는 유배지인 강진에서 18년이라는 긴 생활을 통해 유학의 기본 경전들에 대해 전심전력을 추구하였고, 다양한 저술을 통해 경학과 경세학에 학문적 노력을 기울였다.
    정약용은 경세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였는데, 특히 전제와 관련한 문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처하고자 하였다. 그의 전제개혁론은 여전제와 정전제 두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정약용은 여전제를 구상함에 사적인 토지 소유를 혁파하고 공동 경작과 이에 따른 분배 방식을 택함으로써 당시의 토지 겸병과 수탈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여전제는 공동 생산과 노동 분량에 따른 공평한 분배 등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여전제 이후 자신의 학문을 체계화하면서 보다 현실적이면서도 고법에 근거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그가 제시한 대안이 바로 정전제인데, 당시 사회가 안고 있던 문제점들에 대해 비교적 자세하고 세부적인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약용은 민본주의적인 민의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고 그 인식을 바꾸었다. 그는 백성을 다스리는 임금과 수령으로서의 ‘목민관’과 다스림을 받고 있는 ‘백성’의 사이에서, “목민관이 백성을 위해서 있는 것인가? 백성이 목민관을 위해 있는 것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통치 체제의 본질적 의미를 물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asan Jeong Yak-yong'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 theory of economic administration. After passing the throne in 1789, Jeong Yak-yong experienced various government positions and made a selection as a prominent official. However, after Jeongjo's death, he fell victim to party strife and left in exile. Through his long life of 18 years in Gangjin, where he was exiled, he pursued all his heart and soul for the basic scriptures of Confucianism, and made academic efforts on Gyeonghak and Gyeongsehak through various writings.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when Jeong Yak-yong led his life, corresponded to the process of decline or collapse of the Joseon feudal system. Joseon society, which had two major wars, the Imjin War and the Byeongja Horan, was struggling to escape the recession due to the breakdown of order in its own fields. Jeong Yak-yong, who appeared in these circumstances, longitudinally inherited Hyungwon and Ik and laterally consumed Bukhak and Seohak, compiling the newly emerging Silhak ideology at the time.
    Jeong Yak-yong presented various views on the economic situation, especially trying to cope with it with great interest in issues related to the premise. His theory of despotic reform can be divided into a sedentary system and a static system. In conceiving the sedentary system, he tried to exclude the simultaneous exploitation and exploitation of land at the time by breaking down private land ownership and choosing a joint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method accordingly. Such a sedentary system insisted on joi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based on the amount of labor, reduction of tax rates and supplementation of problems in the Gunpo system, encouraging commerce and industry, and revitalizing the division of labor. And after the sedentary system, he saw the lives of farmers in exile and systematized his studies, seeking more realistic and high-law alternatives. The alternative he proposed is the static system, which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detailed and specific reform plans for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society, such as the rich, the poor, and the poor and corruption.
    Meanwhile, Jeong Yak-yong newly interpreted the concept of the democratic people and changed their perception. He aske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ruling system by asking the question, "Is the Mokmingwan for the people? Is the people for the Mokmingwan?" between the king and the leader who governs the people and the people who are under the rule. Thus, the Mokmingwan, which should be there for the people, extorted the people's wealth and exposed the paradoxical reality supported by the people, accusing the contradiction of the reality that the political principles of the classical 'people's basicism' that are so natural are ignored. Jeong Yak-yong's way of responding to the live-action reality was to thoroughly embody Confucianism's democratic ideology of women with the motto of stabilizing people's livelihoods in the times in which he l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