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향 -유교의 확산과 문치사회론- (Spread of Confucianism, and the Notion of Civil Governance of the Society -Study of An Hya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8.02
38P 미리보기
안향 -유교의 확산과 문치사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8호 / 483 ~ 520페이지
    · 저자명 : 도현철

    초록

    이 논문은 안향의 학교 진흥과 인재 등용에 대한 것을, 최근의 연구 성과 예컨대 고려 원 관계사 연구와 그 주변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살펴보려는 글이다.
    안향이 활동한 13~14세기는 국제사회변동기로서, 고려는 세계제국의 원의 간섭과 지배를 받던 시기이었고, 성리학을 비롯한 세계 문화를 수용하는 시기였다. 안향은 고려 국가의 보위를 전제하면서 원의 세계 문화를 수용하여 국학의 진흥과 유교의 확산에 주력하였다. 안향은 원나라의 禿魯花 혹은 征東行省의 관원(儒學提擧司, 左右司 員外郞과 郎中)이 되어 성리학을 익혀, 학교를 복구하고 섬학전이라는 장학재단을 만들었으며, 중국에서 六經, 子史 등의 서책을 구입하였다. 안향은 성리학을 백이정과 권부, 우탁에 에게 전하였는데, 이들은 다시 성리학을 이제현․이곡․이색에게 전수하였다.
    안향의 국학 진흥과 인재양성은 충숙왕 6년에 문묘에 배향하는 이유가 되었다. 이제현은 안향을 높이 평가하여 한 시대의 유종(儒宗)이라고 하였다. 안향 살던 시기는 무신집권기와 대몽항쟁기를 거치면서 국토는 황폐화되고 교육에 힘을 쏟을 여력이 없었는데, 그러한 척박한 조건에서 원에서 성리학을 수용하여 유학 발전에 공을 세운 것을 인정한 것이다.
    말하자면, 안향은 몽골과의 항쟁과 원 간섭기라는 시대적 조건 속에서 유학의 성인의 도를 체득하고 국학을 진흥하며 유교를 확산하는 터전을 만들어 갔다. 그리하여 그의 공적은 유교가 지배하는 사회를 건설하고 문치 사회를 확립하는 데 기여한 것을 평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An Hyang’s promotion of dynastic education, as well as his efforts to enlist talented people in government service. Those aspects of his life are examined here based upon recent studies conducted on the unique relationship cultivated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Yuan Empire. In other words, a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ic review of the matter is attempted in this article.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international order was in flux. Goryeo was under oppression and intervention of the Mongol Yuan empire,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embracing Neo-Confucianism, and other cultural influences from the outer world. An Hyang, while remaining determined to keep the country safe and its traditions preserved, tried to actively import Yuan-introduced worldly culture as well, and also not only promote the Gukhak university of the dynasty but spread Confucianism in Goryeo too. He served not only as a Dokrohwa(禿魯花) figure in Yuan, but also as a Jeongdong Haengseong(征東行省) official in Goryeo, and in the course of such career acquainted himself with Neo-Confucianism, repaired schools and established an Academic fund named Seomhak-jeon, and imported relevant texts such as the Six Classics(六經) and Theories & Histories(子史) from China. He also taught hi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to Baek I-jeong, Gweon Bu and Wu Tak, who relayed such teaching to figures like Yi Je-hyeon, Yi Gok and Yi Saek later on.
    An Hyang’s promotion of Gukhak and his efforts to raise future talents were duly acknowledged when it was decided by the government to enshrine his tablet inside the Confucian shrine in the 6th year of King Chungsuk-wang’s reign. Yi Je-hyeon also highly praised him and even called him the Confucian master of an entire era(儒宗).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and the 30 years-long fight against the Mongols, the country was devastated and education was lost, but An Hyang’s determination to reverse all that by importing Neo-Confucianism from Yuan and dedicate his life to the development of Goryeo Confucianism was finally recognized.
    In essence, in a turbulent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Goryeo period experienced the traumatic Mongol invasion and the Empire’s political interference in Goryeo affairs, An Hyang continued his efforts to understand the Ways of Confucian Sages, promote the operations of the Dynastic Gukhak University, and laid down the foundation for Confucianism’s further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His real contribution was to the foundation of a certain community, where Confucianism would rise as the leading voice, and the notion of ‘civilized governance of a community’ was to prevail for a long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