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과 현대정치철학의 정의론 (I-Ching and Justice in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0.11
20P 미리보기
주역과 현대정치철학의 정의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사상연구 / 16권 / 2호 / 47 ~ 66페이지
    · 저자명 : 장동진

    초록

    이 글은 주역의 원리에 입각하여 현대 정치철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정의론을 조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정치철학에서 특히 자유주의적 정의관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함으로써 개인을 사회로부터 고립시키게 된다. 이러한 자유주의적 정의관의 문제를 지적하고 개인과 사회의 연루성과 공동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대공동체주의 정의관이 등장한다. 한편 개인과 사회의 연루성을 민족성이나 인종문화적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소수민족이나 인종문화적 집단에 특별한 집단차별적 권리를 주장하는 다문화주의 정의관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입장들은 공통적으로 인간과 사회를 우주자연의 질서나 목적성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다. 정의 문제가 궁극적으로 인간의 좋은 삶과 행복의 실현 문제라면, 인간과 사회를 우주자연의 질서나 원칙과 결부시켜 파악하는 시도가 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주역은 인간, 사회, 자연의 삼자 관계를 유기적으로 파악하여 인간 삶의 생존 논리를 총체적으로 표현해 낸다. 그것은 자연 및 우주질서의 논리를 인간행위 및 사회운영의 논리와 연결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주역의 입장은, 개인 상호간의 신념의 차이나 또는 공동체 상호간의 정의관의 차이가 발생하였을 때, 이것을 자연 또는 우주와 연관한 인간 삶의 본질과 목적성에 비추어 판단할 수 있는 반성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 특히 음양론은 우주자연의 질서와 인간사를 연결시키고 있는 핵심적 논리이다. 음양론의 교역과 변역, 그리고 잠재적 전환성의 원리는 개인이 지니는 정의감 및 도덕준칙, 그리고 공동체의 정의 및 도덕 원칙을 자연의 질서와 연관한 인간 삶의 궁극적 본질에 비추어 평가해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것은 하나의 고정된 원칙에 집착하기 보다는 그 원칙의 해석의 융통성, 상황과 시의에 적합한 해결책을 모색할 것을 요구한다. 주역의 정의관은 자연과 우주의 질서원리에 입각한 자연적 정의로서 사람들의 일상적 생활을 통해 표현되는 삶의 원칙이다. 이러한 삶의 정의관은 공적인 정치적 원칙은 물론 우리가 하나의 신념으로서 가지고 있는 도덕관을 성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imed at reviewing theoretical debates on justice in com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in light of the Yin-Yang theory in the Book of Change. Specifically contemporary liberal conceptions of justice begin with the priority of individual freedom and liberty, thus ignoring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As a response to this liberal separation of individuals and society, contemporary communitarians attempt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n theorizing justice, which triggered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s. And also we see another line of approach, that is, multiculturalism, which attempts to connect individuals to the membership of particular society or cultural community, specifically focusing on national minorities or ethnic group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nationality or ethnicity in shaping the identity of individuals, it advocates the politics of group- differentiated rights. However, it seems that contemporary debates on justice fail to take ser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in theorizing justice.
    The Book of Change attempts to induce basic principles for society and individuals by identify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nature and universe. It sees the Yin-Yang interacti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nature and universe. It grasps the Yin-Yang as the fundamental cause of change and movement of the universe that keeps life of nature as well as human beings. That is, without the Yin-Yang interaction, there would be no change and movement, and further without change and movement, there would be no life. The Yin-Yang theory has been interpreted traditionally in two ways. One is the opposite interaction in space, which means that Yin and Yang interacts with each other in the opposite. The other is the changing interaction in time, which means that Yin and Yang interact with each other, producing the rise and decline of the two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two interpretations, I suggest the principle of potential conversion of Yin and Yang. That is, Yang involves Yin and vice-versa, which means that Yang in itself may converse itself into Yin and vice-versa.
    The Yin-Yang theory runs through the universe, society, and human beings. First of all, this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connectedness of human beings and the universe should be the bedrock for theorizing public justice that most contemporary debates on justice are concerned with. Basically the Yin-Yang theory provides basic guidelines for managing society as well as leading individual life, which might be called common justice in daily life. This common justice, even if incomplete and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may play a role of criticizing as well as complementing public justice which is also inevitably incomplete and unstable because of our incomplete capability of understanding, limited generosity towards others, and relative scarcity in re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치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