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古記論 (The Debate on"Gogi(古記)" of the Ancient Joseon Article in Samguk-yus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2.08
36P 미리보기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古記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69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김성환

    초록

    「고조선」조의 고기에 대해서는 적어도 3백년 이상의 연구사가 축적되어 있다. 그간에 여러검토와 비판이 이루어졌지만, 우리는 여전히 그 성격부터 성립시기에 이르기까지 합의된 의견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만큼 복잡다단하기 때문이다.
    「고조선」조의 고기가 담고 있는 단군신화는 단군의 어국와 향국을 역년으로 접근한 권근의사례에서 확인되듯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변증을 통해 해석되어왔다. 17~18세기에는 변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성리학의 눈을 통해 들여다본 그 신화는 황탄하고 佛說에 둘러싸인것으로 비판되었다. 괴력난신이 일연을 통해 神異로 전환된 앞 시대의 시선과 전혀 달랐다.
    그렇지만 그들은 비판에만 머물지 않았다. 그들의 관심은 단군신화를 조선 상고사의 서두에재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어용학자들은 17~18세기 고기의 연구성과를 고조선 부정론에 역이용했다. 그들은 「고조선」조 고기의 단군신화를 일선동화를 위해 일본건국신화 안에서 재편하거나, 佛說에 근거해서 승려가 허구로 지어낸 가공의 仙譚에 지나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필원잡기』와 『연려실기술』에서 고기 또는 삼한고기를 전거로 실은 단군전승을 삼국시대의것으로 파악하는 오류를 범했다.
    「고조선」조 고기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는 비교적 근래에 와서야 이루어졌다. 여전히 그 실체를 삼한고기 또는 해동고기로 검토하는 시각도 있고, 단일서명으로의 『고기』로 검토하는견해도 있다. “옛 기록”이라는 자의를 존중하는 견해도 있다. 그 성립시기에 대해서도 『구삼국사』와 관련해서 검토되기도 하고, 「북부여」조 고기에서 분주된 “大遼 醫州界”와 관련하여 11 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전반 등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고려 건국 전후에 성립되었을 것으로추론했다.
    고려시대에 유통되었던 고기류의 자료에는 단군 고기류로 묶을 수 있는 5~6종의 자료군이있었다. 그중에서 「고조선」조의 고기가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자료였다. 「고조선」조에서 고기는 『위서』와 보합의 관계에 있다. 그렇지만 그 성격에 대해서는 향후 정치한 논리와 새로운자료의 발굴을 통해 본격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For over 300 years, researchers have accumulated historical examinations of the Ancient Joseon period's Gogi(古記). During this time, various studies and criticisms have been put forth, but it has proven impossible to form a consensus regarding the work's characteristics or even the date of its composi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urrounding issues.
    The Tangun mythology, encompassing the Gogi of the Ancient Joseon, seems to have been confirmed by examples provided by Gweon Geun(1352~1409), who wrote about Tangun's dynastic period, approaching the topic from the years of Tangun's reign. Scholars have thus used his examples, dating as the are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to interpret this mythos.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hese examples took on a more dynamic aspect. Scholars criticized scrutinizing the mythology from the viewpoint of Neo-Confucianism as both absurd and mired in Buddhist doctrine. This was an entirely different approach from that Iryeon(1206~1289), a Buddhist monk who attempted to reframe the wonders about ghosts from a previous age into a more acceptable depiction, divinity, choosing to focus on the story's sacred and heroic aspects. The scholars, though, did not content themselves even with this criticism; their concerns went further, centering around the complete reorganization of the Tangun mythos going back to the beginnings of ancient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overnment-sponsored scholars distorted the results of Ancient Joseon's Gogi conducted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o suit their own ends. Typical examples included scholars such as Shiradori Kurakichi, Imanishi Ryu, and others. Through their writings, Gogi of the Ancient Joseon article was reduced to a mere hermit tale based on Buddhist teachings written by monks.
    One scholarly viewpoint advocates the examination of the true nature of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using the Samhan-gogi and Haedong-gogi. Another calls for the study of the Gogi based on the title of the work itself, while yet another opinion involves evaluating the title's underlying Chinese character, which translates literally to "old record".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date of composition and Samguk-sa. Related to Uiju county boundary in Liao Dynasty, part of the records of Northern Buyeo article, one can also see a separate examination conduct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eleven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twelfth century into the Gogi's connection to the formation of the Goryeo dynasty.
    Among the historical documents circula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scholars were able to extract specific documents concerning Tangun and compile them into the data group. These were composed of the Ancient Joseon Gogi, Tangungi, Tangun-bongi, and an ancient record of an unknown title appearing in Wangryeok, along with others. Among these,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was confirmed to have been the standout document for a time. A mutu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and Wiseo, but a new explanatory approach is needed to address all of the weaknesses inherent in the numerous hypotheses and inferences regarding the nature of this mate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