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앙교육을 위한 교육방법론 연구 (A Study of Educational Methodology for Faith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2.11
27P 미리보기
신앙교육을 위한 교육방법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 / 32호 / 357 ~ 383페이지
    · 저자명 : 박은혜

    초록

    기독교교육방법론에 있어서 방법이란 여러 요소 중 하나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나 도구이다. 이 연구는 먼저 기독교교육에서 방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수와 학습은 함께 이해되어야 하며, 교육학적, 사회과학적 차원과 더불어 기독교적인 차원을 고려해야 하며, 교재(text)와 현장(context)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다른 교육의 요소들과 함께 이해되어야 함을 언급했다.
    다음 장에서는 리차드 오스머의 신앙의 네 가지 신앙의 개념과 더불어 신념을 위한 교육으로 강의법, 관계를 위한 교육으로 토의법, 헌신을 위한 교육으로 삶의 이야기 재해서,신비를 위한 교육으로 비유, 반대교수, 재구성의 방법을 설명하였다. 사라 리틀의 신념의개념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다섯 가지 교수 모델-믿기와 생각하기의 정보처리과정, 믿기와 참여하기의 집단상호작용 모델, 믿기와 만나기의 간접적 의사소통, 믿기와 깨닫기의 인격발달, 믿기와 행하기의 행동과 반성-을 설명하였다. 과정신학과 교육방법을 연결시킨엘리자베스 무어의 다섯 가지 교수 모형-산파식의 사례연구, 통합적인 형태방법, 성육적인 현상학적 방법, 관계적인 이야기 방법, 해방적인 의식화 방법을 설명하였다. 각 이론에따라 신앙교육에 있어서 목적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신앙을 가르침으로 형성시키고 성장하게 하고 변화를 유도하는 것은 공통적이다. 따라서 각 이론에 따라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구체적 방법은 같은 것도 있고 다른 것도 있다. 그러나 여러 이론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신앙교육에는 어떤 면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어떤 방법으로 교수해야 하는지, 학습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신앙을 형성해 가는지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얻게 될 것이다.
    기독교육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기독교적 성장과 변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둘째, 신앙의 내용 수준에 따라 다른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셋째,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실시하느냐에 따라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에게 내용을 집어넣느냐 학생들 안에서 나오게 하느냐에 따라 방법이 다르게 선택되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사 중심이냐 학습자중심이냐에 따라 다른 방법이 선택되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매체를 사용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 방법론은 다르게 적용되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A method in Christian education is a means or an instrument among many educational elements for effective education. This study mentions several things to help understanding in method of Christian education.
    First,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together. Second,Christian aspect as well as educational and social scientific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hird, understanding about text and context should be premised on an assumption. Last, it should be understood with other elements.
    The next chapter explains Richard Osmer’s four concepts of faith and their concrete methods-lecture for the teaching of belief, discussion for the teaching of relationship, reinterpretation of life story for the teaching of commitment, and paradox, reform, and parables for the teaching of mystery. And then, it explains Sara Little’s concept of belief and five teaching models-Believing and Think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Believing and Participation: Group Interaction Models, Believing and Encountering: Indirect Communication, Believing and Becoming Aware:Personal Development and Believing and Doing: Action/Reflection. Mary Elizabeth tries to make a bridge between the lands of educational method and process theology and suggests five teaching methods-Midwife Teaching:Case Study Method, Integrative Teaching: Gestalt Method, Incarnational Teaching: Phenomenological Method, Relational Teaching: Narrative Method and Liberative Teaching: Conscientizing Method. The last chapter suggests several things to apply concretely for the methods of Christian education. Methods in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ly chose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growth and change in Christian education, the levels of faith content, individual or group,input educational content on students or output that from them, teacher centered or student centered, and using educational materials or n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 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