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심론 (Pragmatic Confucianist's View on the Mi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9.06
23P 미리보기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26호 / 73 ~ 95페이지
    · 저자명 : 장승구

    초록

    조선유학에서 심에 대한 논의는 주로 4단과 7정, 인심과 도심,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인성과 물성의 동이 문제, 미발심체기질의 선악 문제, 성범심동이에 관한 문제, 지각과 지의 문제 등이 초점을 이루었다. 그런데 실학자들은 이러한 성리학의 심론에 대해 어떠한 입장과 태도를 취하고 나아가 어떤 대안을 제시했는가를 성호, 담헌, 다산, 혜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학의 심에 대한 담론은 크게 보면 자연주의적 심론과 휴머니즘적 심론으로 대별된다. 주자학의 인간-자연 통합구도가 실학의 심론에서는 분열된다. 자연주의적 심론은 홍대용 등에 의해 제기되어 최한기로 발전하였고, 휴머니즘적 심론은 성호에서 다산으로 이어진다.
    성호는 심의 개념을 명료히 함으로써 ‘인간의 심’과 ‘동물의 심’, ‘초목의 심’, ‘천지의 심’ 등 ‘심’이란 용어가 같다고 해서 의미가 같은 것은 아니고, 그것은 단지 유비로서 그렇게 사용될 뿐 본질적 의미의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비해 담헌은 인간에게만 도덕적인 마음이 있고 동물은 그렇지 않은 것처럼 생각하는 인간중심의 도덕주의적 독선을 비판하고,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인간과 동물의 마음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다.
    다산은 성리학적 심론의 불교적 흔적을 비판하면서 인간과 동물의 마음의 차이를 강조하고, 인간 마음의 근원은 상제라고 보고, 인간 마음의 선지향성과 자유의지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리고 혜강은 인간의 마음은 독자적인 영역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몸, 특히 감각기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것과 유기적 관련을 맺고 있는 중심이라고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혜강은 마음으로서의 신기는 외부의 사물을 경험적으로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인간의 신기는 다른 인간의 신기와 서로 통할 수 있는 상호주관성 또는 보편성이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그것에 기반한 진리의 객관성, 인식의 객관성을 옹호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n examination of pragmatic Confucianist's view on the mind. The theme of mind has been one of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Pragmatic Confucianists have developed their own theory of mind against Neo-Confucianism.
    Yi Ik analyses various uses of the term 'mind'. He emphasizes that human mind has moral dimension which animal mind do not have. In comparison with Yi Ik, Hong Daiyong contends animals also have their own mind. According to Hong Daiyong there is a continuity between human and animal mind. Yi Ik and Hong Daiyong take an ambiguous attitude toward Neo-Confucianist's theory of mind. On the one hand they accept some aspects of Neo-Confucianist's theory of mind, but on the other they hold a sceptical attitude about Neo-Confucianism.
    Jeong Yagyong understands Neo-Confucianist's theory of mind was formed under strong influence of Buddhism. For Jeong Yagyong the mind of human being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non―human being's mind. Above all human mind has the free will to choose between good and evil.
    Choi Hangi usually uses the term of "singi(神氣)" in stead of sim(心). According to Choi Hangi singi can not separated from physical body. The singi perceive external world through sense organs. Choi Hangi emphasizes the cognitive function of mind. He strived to find epistemological method to obtain objective knowledge by analysing the function of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