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적 의제론 재고(再考) (Some Re-considerations on Theory of Legal Fi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3
49P 미리보기
법적 의제론 재고(再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64권 / 1호 / 1 ~ 49페이지
    · 저자명 : 하재홍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법적 의제의 성격과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우리 법제에 적실성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에 있다. 먼저 논의의 대상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대상은 잉글랜드 보통법에서 발전해 온 법적 기교로서의 의제(협의의 법적 의제)이며, ‘전체로서의 법 또는 법세계는 허구(의제)이다’라는 명제나 사실의 입증책임과 관련한 추정 또는 간주와 같은 법리는 검토대상이 아니다. 잉글랜드에서 협의의 법적 의제는 멀리 로마법에 기원을 두고 발전해 왔는데, 사실이 아닌 허구임에도 사실로 취급하며 이의제기나 반대입증을 허용하지 않는 법적 기술이다. 대표적인 유형으로 사제의 특권이나 농노의 사생자 제도 등이 있다. 협의의 법적 의제는 소송방식의 엄격성을 준수하는 한편 권리구제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며, 특히 누구를 속이거나 누구에게도 해악을 끼치지 않는다는 규칙에 따라 법률가들이 애용하는 기술로 크게 발전했고, 법학원의 교육을 통해 구술로 전수되어 왔다. 그러나 19세기 초반 잉글랜드에서 법제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또 벤담에 의한 보통법 비판의 영향으로 소송 법제에 만연했던 법적 의제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많이 사라졌다. 하지만 법적 의제는 현재에도 영미의 실체법 영역에 흔적을 남기고 있고 또 법률가들도 법적 사고에서 법적 의제에 대한 의존을 완전히 버리지 못하고 있다. 다만 영미에서도 법적 의제의 작동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는 일은 드물고, 그 결과 무엇이 법적 의제라는 언급은 있어도 그것이 어떤 논리에 따라 작동하는 것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힘들게 되었다. 협의의 법적 의제를 외부인이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 전수 방식의 특성 때문인데, 근래에 법제사가인 베이커의 노력으로 상당 부분 그 모습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법적 의제에 관한 그동안의 소개를 검토하고 보통법상 법적 의제의 정확한 특징을 밝힘으로써 사실과 실질을 존중하는 우리 법제에서 협의의 법적 의제와 같은 법기술은 활용될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and contents of legal fiction and its fitness in our legal system.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ubject under discussion. The subject matter of this paper is legal techniques developed in English common law. So, the proposition like the world of law is fiction is beyond consideration, nor presumptive of law or fact.
    Legal fictions, rooted in ancient roman law, are a legal technique that treats an assertion as a fact even though it is fiction, and does not allow objections or proofs of opposition. The benefit of clergies and bastards of villein are good examples. The justices of the court favored the legal fiction to expand the relief while complying with the strictness of rules of litigation under the maxim that legal fiction does not deceive or harm anyone, and passed it down through the oral education of Inns of Court. However, the legal reform in England from the early 19th century and the harsh critics of Bentham on common law made legal fiction disappear since the late 19th century. However, legal fiction still leaves marks in the realm of the substantive law of common law countries, and lawyers do not completely discard their dependence on legal fiction in legal reasoning. But they seldom explain in detail how legal fiction works, and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logic they operate. In recent years, J.H. Baker's efforts have made it possible to appreciate legal fiction in detail.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is no room for legal fiction in our legal system because the law and lawyers of this land favor orientations toward facts and tru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대학교 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