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정론의 교회적 위로 (The Ecclesial Comfort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4.11
26P 미리보기
예정론의 교회적 위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44권 / 126 ~ 151페이지
    · 저자명 : 김지훈

    초록

    개신교 500년의 역사에서 예정론은 크게 두 가지 방향성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대표적으로 Theodore Beza에게서 강조된 것으로서, 예정론을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구원의 경험적-주관적인 확신 위에서 전개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훨씬 후대의 스위스 신학자 Karl Barth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기독론적-보편 구원론의 이해이다. 한국 개신 교회는 이 두 가지 방향성 중에서 베자의 개인주의적 이해에 입각한 예정론적인 이해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입장은 충분히 성경적이며 개혁주의적임에도 불구하고 예정론의 실천적인 면에서 아쉬움이 따른다.
    종교 개혁 당시에 누구보다도 예정론을 잘 설명한 칼빈은 개인주의적인 예정론 뿐만 아니라, 교회론적인 선택론을 가르쳤다. 칼빈은 기독교 강요 초판에서 예정론을 교회론 안에서 다루었다. 그에게 있어 그리스도적 선택론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교회의 연합이라는 결과를 가지고 온다. 이 교회와의 연합은 성도가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되었다는 증명이다. 이런 면에서 성도에게 선택의 확신은 내적인 Syllogismus practicus 뿐만 아니라, 외적인 성도와의 교제로서도 확인된다. 이러한 공동체적인 예정론의 이해는 기독교 강요 최종판에서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칼빈은 electio in Christo를 통하여 성도가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의 확신을 얻게 한다. 이러한 electio in Christo는 강요 초판과 동일하게 교회의 연합과 연결된다. 성도가 얻는 선택의 확신은 가시적 교회와의 연합으로 얻는다. 이러한 예정론의 교회론적인 위로는 그가 작성한 제네바 신조(1545)와 그의 성경 주석에서도 나타난다.
    성도의 선택의 확신은 주관적인 면에 머무르지 않는다. 하나님께서 성도를 선택하시기 위해서 작정하신 그리스도와 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교회와의 연합이 성도에게 확신을 주는 또 하나의 성경적인 증거이다.

    영어초록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has had two main understandings in the Protestant history of five hundred years. First understanding was emphasized by Theodore Beza. He develope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on the understanding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and Personal soteriology. The other one appeared in Karl Barth. His understanding was the Christological and the universalistic.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followed Beza's understanding which based on personal soteriology. It is fully Biblical and Reformed theological but many Christians feel the lack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s practical part.
    At the time of the Reformation, John Calvin, who explaine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better than anyone else, taught both of the personal predestination and the Ecclesiological predestination. Calvin took 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the Ecclesiology in hi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1536)'. His predestination's understanding of the centered Christ brings a result of Churches' unity in Christ. The unity of churches is a proof of that God elected the children of Him in Christ. In this aspect, Christian's certainty of election is verified not only internal Syllogismus practicus but also extrinsic relationship with congregation. The ecclesiological predestination's understanding doesn't much contradict Calvin'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1559)'. Calvin said that 'Christian gets the certainty of election in Christ through electio in Christo.' The electio in Christo connects to the unity of Church in the same with Inst(1536). The Christian gets the certainty of election through unifying with the visible church. This doctrine of predestination's the ecclesiological comfort appeared in his 'The Catechism of Geneva(1545)' and his commentary.
    The Christian's certainty of election is not stay on the subjective aspect. Christ as God's decree for choosing His people and Church's unity on the earth give the certainty of election to Christians. It is another Biblical proo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