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라톤의 정치교육론 (Plato's Theory of Political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8.04
22P 미리보기
플라톤의 정치교육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 / 34호 / 169 ~ 190페이지
    · 저자명 : 성기산

    초록

    그리스 고대 사회의 정치사상은 자유와 평등, 그리고 정의에 가치를
    두고 있었고,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은 도시국가의 시민들
    이었다. 당시의 정치철학자들은 도시국가는 공동체의 정의와 안정을 위
    해서 덕이 높은 시민을 길러내는 데 힘써야 한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
    하고 있었다. 정치철학이 공동체의 제반 문제에 관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사고 체계를 의미한다면, 플라톤은 인간의 조건과 보다 나은 삶에
    관해 체계적으로 탐구했다는 점에서 정치철학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아테네에서 활동했던 소피스트들은 형이상학에서 벗어나 인간
    과 언어 그리고 사회에 관심을 갖게 하는데 기여했지만, 그들은 불변의
    진리에 관한 논리를 공격하고, 세속적이고 상대주의적인 윤리를 옹호했
    다(Jarett, 1969 : 15). 그들의 회의론은 윤리적 상대주의와 인간의 본성에 관한 견해 그리고 정치이론으로 표현되었다(성기산, 1993 : 110-111).
    플라톤은 당시 그리스 사회에 만연된 회의론과 상대주의를 거부하고,
    정치 사회를 질서가 있는 구조로 파악했을 뿐만 아니라 분화된 역할들
    의 체계로 인식했다. 그가 『국가』(POLITEIA)1)에서 서술한 통치자와 보
    조자, 그리고 생산자의 역할은 사회의 필수적인 기능을 서술한 것이었
    고, 역할들의 조화와 통합은 정치 사회를 기능적이고 상호 의존적인 전
    체로 만들려는 노력의 산물이었다. 사실 정의, 자유, 입헌정부, 법의 지
    배 같은 정치적인 개념들은 그리스 도시국가의 정치제도에 관한 그리스
    철학자들의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사상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플라톤이 자치 공동체인 도시국가에서 구성원과 공동체 사이의 바람
    직한 관계와 다양한 정치 체제에 관해 철학적으로 논의한 것은 정치사
    상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동시에 아테네에서 민주주의가 발달하게
    된 결과로 정치적인 문제들에 관해 공개적으로 토론하고 깊이 사고하
    는 정치문화가 생겼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아테네는 정치철학이 발전
    되는 비옥한 토양이었고, 그리스인의 삶의 양식이라 할 수 있는 도시국
    가의 헌법에는 도덕적인 정신이 담겨 있었다(Barker, 1959 : 2-7).
    일반적으로 말해서 ‘정치적’이라는 말은 권력이 행사되고 서로 겨루
    고, 연합과 분열이라는 집단적인 형식들이 실현되는 활동 분야를 가리
    킨다. 하지만 이런 추상적인 의미는 사회의 문화적 특성과 삶의 방식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와 시대에 따라 다른 의미로 이해되
    어 왔다. 현대 정치학에서는 전통적으로 정체, 법률, 그리고 제도에 관
    심을 갖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 고대의 정치와 정치사상의 상황은 이와
    다르다. 정치적이라는 말은 그리스인들의 경우에는 ‘도시국가의 일
    들’(ta politika), 즉 공적인 의사결정 과정은 물론이고 사회생활, 종교생
    활, 윤리적인 삶, 가정생활 등에서처럼 권력의 행사가 수반되는 측면들
    을 포함하는 말이었다(Balot, 2006 : 3). 그리스 문화의 특징이 그렇듯이,
    정치적이라는 것은 공동체의 행복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고, 시민들이 부도덕하고 이기적이고 부정한 것을 거부하고 윤리적
    이고 지적인 덕을 통해서 권력 투쟁을 하는 활동 분야를 의미했다.
    당시 플라톤은 민주주의를 비판하는 가운데서 민주주의적인 숙고는
    실천적 지혜를 얻는 방법이 아니라 지적인 계략이며, 설득을 강조하는
    대중의 민주적인 대화는 탐욕과 편협한 자기 이익에서 비롯된 것이며,
    흔히 의문의 여지가 있는 윤리적 신념들로 이루어진 동굴 안의 세계에
    갇혀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Balot, 2006 : 191). 그래서 그는 민주주의는
    시민들의 행복을 보증한다는 정치적인 목표를 성취할 수 없다고 주장
    했다.
    플라톤은 당시의 도시국가에는 회의론과 혼란이 널리 퍼져 있다고
    진단하고, 시민들의 깊이 있는 윤리적 이해의 발달을 도모하는 정치교
    육에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의 정치교육, 즉 시민교육에 관한
    논의는 동굴 안에서 사는 사술에 묶여 있는 죄수에 비유되는 대중의 삶
    과 정의, 아름다움, 고상한 것 등에 관한 깊은 이해 없이 대중의 변덕스
    러운 욕망을 충족하는 데만 관심을 갖는 정치가의 삶을 회의론과 상대
    주의, 그리고 냉소주의에서 벗어나 확고한 윤리적 신념을 바탕으로 살
    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플라톤에 따르면 정치교육은 국가의 안전과 존속, 그리고 조화를 보
    장하는 활동이며(Rorty, 1998 : 3),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성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사회를 건설하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하다. 그의 정치교육론은
    동굴 안에 갇혀서 그림자만을 바라보면서 살면서도 해방되기를 거부하
    고 관습적인 신념을 받아들이는 것에 만족하는 시민들의 교육과 정의
    는 무력하고 하찮은 것이며, 가능하면 어디서든지 강자가 지배하는 것
    이 자연의 법칙이라고 믿고 대중의 욕구 충족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정치가의 교육(Crossman, 1963 : 13)에 관한 논의를 통해서 이해될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플라톤이 주장한 정치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이며, 정의와 행복을 실현할 수 있는 시민교육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시민들이 윤리적으로 발달하는데 필요한 정치를 실현하
    기 위해 필요한 철인 정치가는 어떤 인간인지 살펴볼 것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Plato, political education is an activity of ensuring the
    safety and continuity of the state, and harmony of people. His theory of
    political education consists of two aspects : educating citizens and
    education for future rulers.
    The ideal polis is premised on an educational system that properly
    trains citizen's appetites and drives for honor. In other words, the
    system trained the two lower parts of the soul, the spirited part and
    the appetitive desires. Plato's most important political innovation was
    his provision that philosophers must rule. Without this provision, he
    argues that justice in the polis can never be established.
    Political education for Plato was the means by which the
    philosophical rulers could shape human nature in order to produce the
    harmonious state. He held that virtue was knowledge and that
    knowledge could be taught. According to him only those capable of
    practicing justice will be able to recognize the injustices in the state,
    and act to eliminate them, refound the state if necessary. If a state
    does it neglects political education, it can never be improved. In short,
    Plato considers that politics as a form of aristocratic governance that is
    based on knowledge and seeks the welfare of the gover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