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의 존재론 (Ontology of Freedo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10
24P 미리보기
자유의 존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90권 / 4호 / 339 ~ 362페이지
    · 저자명 : 이성환

    초록

    사람의 행위는 '있는 것'의 세계에서 결여된 것에 대한 인식이며, 부정성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래서 행위는 세계의 모습을 바꾸려 하고, 그것을 위해 수단을 강구한다. 사람이 현재에 만족한다면, 어떤 목표도 가지지 않을 것이다. 사람의 행위는 현재의 불만으로부터 생긴다. 말하자면 현재에 없는(결여된) 것에 관한 인식으로부터 생긴다. 사람은 늘 자기가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존재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이 분리를 극복하고자 한다. 이 극복은 현재를 부정하고, 없는 자기 존재를 지향한다. 이 지향이 ‘세계’의 모습을 바꾼다. 세계란 사물세계이며, 남과 공유하는 세계인데, 우리는 행위를 통해 어떻게 세계를 바꾼다는 것인가.
    이 논문의 목적은 바로 인간의 행위를 통해 바뀌는 세계와 그 세계에 개입하는 인간의 힘인 자유란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있다. 사람이 세계를 바꾸는 첫 행위는 물음이다. 물음은 ‘있는 것’으로부터 ‘없는 것’에 던지는 것이다. ‘없는 것’은 욕구되는 것이며, 성취해야 하는 목표이다. 없는 것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 있어야 하는 것이 사실성이다. 이 사실성은 사물의 실재성과는 다르다. 사실성은 사람의 삶이 얽히는 의미의 그물망이다. 실재의 세계에 잉여로 존재하는 것이다. 사르트르는 사실성을 나의 자리(장소), 나의 몸, 나의 과거, 그리고 나의 이웃으로 제시한다.
    자유는 이 사실성에 개입하면서 실재의 세계에 ‘상황’을 연다. “자유는 ‘상황’ 속에서만 존재하고, 상황은 자유에 의해서만 존재한다.” 사실성이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것은 사실 자유가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사실성과 자유의 얽힘이 상황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 논문에서 사람의 자유가 어떻게 사실성에 개입하는지를 보여주고, 이 과정에서 ‘있는 것’의 세계를 무화하면서 ‘나’의 세계를 여는 의식의 힘을 드러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actions of human beings are recognition of what the world lacks. The action starts from recognition of négatité. The human action tries to change shape of the world and arranges a means for it. If human beings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they would not have any purposes. Human starts to act from unsatisfaction of the present. Thus the action begins with recognition of what the world lacks in the present. A human being is always isolated with being, at a distance, with which a human being can be satisfied, therefore it wants to overcome the distance. To overcome the distance means to negate the present, and to move toward the being which is not being in the present. 'Moving toward' changes shape of the world. The world is a world of things and a world with which all the human beings share. How can we change such a world by our ac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world is changed by human actions, and what the human freedom is, which is a power to engage into the world. Human being changes the world starting with asking a question. The question is cast from a 'being' to a 'non-being'. 'Non-being' is something desired, and purpose accomplished. There should be a scaffolding on which movement is made, which is Facticity. Facticity is not reality. Facticity is a web of meanings which the lives of human beings weave together. It is a residue of reality. Sartre presents the Facticity as 'my place', 'my body', 'my past' and 'my neighbors'.
    Human freedom opens up a situation into reality by intervening in the facticity. "There is freedom only in a situation, and there is a situation only through freedom.” To explain what facticity is is nothing but to explain what freedom is because a situation comes out by interweaving of facticity and freedom. This paper illustrates how human freedom is involved in facticity, and exposes the power of consciousness opening up 'my' world while negating the world of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