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화적 읽기의 지도 방법 탐색: 가다머의 대화 이론을 토대로 (An Exploratory Study of Reading Instruction Methods Using Dialogu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12
15P 미리보기
대화적 읽기의 지도 방법 탐색: 가다머의 대화 이론을 토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35권 / 4호 / 185 ~ 199페이지
    · 저자명 : 하채희

    초록

    본 연구는 자기 이해를 목표로 하는 읽기 지도 방안으로서 대화 이론을 기반으로 읽기 지도 방안을제안한다. 본고는 읽기 교육에서 적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읽기 이후의 독자 의식의 변화에 대해 자기 이해의 측면에서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하여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Hans Georg Gadamer)의 자기 이해와 대화를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한다. 가다머는 자기 이해란 독자가 텍스트에 비추어 자기 자신을 밝히는 과정이라 설명한다. 자기 이해는 독자와 텍스트의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독자는 텍스트를 읽으며 자신의 지평과 다른 텍스트의 지평을 만나고, 지평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물음을 던진다. 독자가 물음을 던지고 답을 찾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독자와 텍스트 간의 대화이다. 대화를 통해 독자는 텍스트의 지평과 상호 융합하여 새로운 영역의 공유된 지평을 얻게 된다.
    다시 말해 독자는 텍스트와 대화하며 의미를 찾아 합의를 이룬 지점에서 자신의 의식을 바꾸어 간다.
    이러한 독자의 의식 변화를 통해 독자는 자신을 새롭게 인식한다. 독자는 텍스트를 통해 이전과 다른관점에서 자기 자신을 이해한다. 텍스트를 통해 독자는 자신의 지평이 어떠한지를 확인하고, 텍스트와공유한 새로운 지평의 영역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독자는 새롭게 인식한 자신을 삶에실천하며 자기 이해를 실현해 나간다. 즉, 대화의 관점에서는 독자가 텍스트와 대화하여 지평 융합을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이해를 실현하는 읽기를 목표로 한다. 본고에서는 가다머의 자기 이해와 대화 이론을 기반으로 읽기를 살펴본 뒤, 대화적 읽기를 정립하기 위해 그 특성과 과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화적 읽기를 교육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 대화적 읽기의 조건을 확인하고 지도 방법과 전략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oposes a reading instruction method based on dialogue theory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self-understanding. It explores instructional approaches that address changes in readers’ awareness following reading—an area often minimally emphasized in reading education—from the perspective of self-understanding.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s Hans-Georg Gadamer’s concepts of self-understanding and dialogue in the context of reading education. According to Gadamer, in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readers reveal themselves through their engagement with the text. It is thus achieved through a dialogue between reader and text. As readers engage with the text, they encounter a perspective distinct from their own and pose questions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e process of asking questions and seeking answers constitutes the dialogue, through which readers attain a shared horizon, fusing their perspective with that of the text. In other words, they transform their awareness as they seek and agree upon meaning through dialogue with the text. Through this shift in awareness, they gain a new understanding where they perceive themselves from a fresh perspective inspired by the text. The text allows readers to observe their own horizons and recognize themselves within a newly shared horizon with the text. They then apply this newly realized self-understanding in their lives, thereby fulfilling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From this perspective, the goal of reading is to experience horizon fusion through dialogue with the text and to realize self-understanding based on this experience.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necessary for establishing dialogue-based reading. Additionally, it identifies the conditions that are required for dialogue-based reading and proposes instruc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guiding reading through dialo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