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민학교’로 들어온 ‘전(全) 국민의 과학화운동’ (The “Pan-National Scientification Movement” in Elementary School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4.04
21P 미리보기
‘국민학교’로 들어온 ‘전(全) 국민의 과학화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초등과학교육 / 43권 / 2호 / 301 ~ 321페이지
    · 저자명 : 강유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에게 오랫동안 요청된 이원화된 업무, 즉 ‘과학교과수업’과 ‘교과 외 과학 관련 행사’의 역사적 연원을 밝히는 것이다. 1970년대에는 기초과학 중심의 제3차 교육과정과 기술교육 중심의 과학화운동 사이의 긴장 속에서 국민학교 과학교육이 이루어졌다. 문교부는 과학화운동이 도입되기 전부터 오랫동안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아서 탐구 중심의 기초과학교육 정책을 추진하였고, 특히 1973년 제3차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를실현하려고 하였다. 그러던 중 1973년에 ‘전 국민의 과학화운동’이 정권 차원에서 갑자기 추진되었다. 문교부로서는 갑작스러운 유신정권의 요구를 이미 진행 중이던 제3차 교육과정 속으로 편입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두 가지 정책에서 비롯된 두 가지 요구가 공존하였기 때문에 이후 초등학교 과학교육 활동은 과학교과수업과 교과 외 과학 관련 행사로 이원화되어 실행되었다. 과학화운동은 교육과정 자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지만, 학교 현장의 인사조직, 활동 공간, 평가 제도에 변화를 주었다. 국민학교에 과학화운동이라는거대 프로그램이 도입되면서, 학교 내부의 인사조직을 변화시켜서 ‘과학주임교사제’가 새롭게 만들어졌고, ‘과학코너’라는 새로운 공간이 확보되었으며, ‘과학장제’라는 새로운 제도가 보급된 것이다. 이처럼 과학화운동 자체는초등교육에 갑작스럽게 도입되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제3차 교육과정이 목표로 삼았던 탐구 중심 과학교육이 실천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했던 듯하다. 이는 역설적으로 과학화운동의 여파가 일선 교육청과 학교의 ‘교과 외’ 자율적활동으로 흡수된 것에 기인했다. 과학화운동 자체는 특정 시기의 정부 주도 정책이었지만, 다양한 과학교육종사자들이 오래 준비해 온 제3차 교육과정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긴급한 정부의 요청에 응답하는 방식이 교과 수업과 교과외 과학 활동으로 이원화된 것이었다. 이처럼 1970년대 과학교육현장에서 과학교육종사자들이 능동적으로 대응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과학교육계가 현재의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long-term demand for the integration of “science subject classes” and “science-related events” within the context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s. During the 1970s,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aced a dual challenge marked by the tension between implementing the third curriculum, which emphasized fundamental science, and the “Pan-National Scientification Movement,” which focused on technology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compelled to integrate the sudden demands of the Yushin regime into the ongoing third curriculum. As these demands emerged from dual policy directives, activities related to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subsequently categorized into formal science subject classes and extracurricular science-related events. Although the movement did not directly alter the curriculum, it instigated modifications in personnel structure, activity spaces, and evaluation systems within schools. The introduction of the Pan-National Scientification Movement in elemen tary schools resulted in chang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new “science lead teacher system,” the creation of a dedicated “science corner,” and the implementation of a “science badge system.” Although the movement was abruptly introduced, it ostensibly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the inquiry-oriented approach promoted by the third curriculum. Paradoxically, this advancement was facilitated by the integration of the consequences of the movement into schools’ autonom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spearheaded by frontline education offices and schools. Although the movement represented a government-driven policy at a particular juncture in time, the manner in which science education practi tioners responded to urgent governmental mandates, while preserving the integrity of the long-established third curriculum framework, involved dividing education activities into subject-specific classes and extracurricular science activities. Exam ining how science education practitioners in the 1970s proactively addressed these challenges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the science education community in adapting to the current rapidly evolving educational landsca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