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경험 (Parental Mourning Experiences of Losing Children by Suicid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1.04
44P 미리보기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교정포럼
    · 수록지 정보 : 교정담론 / 15권 / 1호 / 243 ~ 286페이지
    · 저자명 : 이현황, 윤성휘, 하정

    초록

    본 연구는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 3명을 기관 및 지연을 통한 의도적 표집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살로 자녀를 잃은 지 3년 이상 경과되었고, 현재는 비교적 안정적인 삶을 살고 있는 유가족 3명이다. 심층면접을 통한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9월부터 2021년 2월까지이며 한 참여자당 총 3~5회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에 의해 수행되었다. 참여자들의 삶의 경험의 의미는 <믿기지 않음: 세상 떠난 자식을 꿈, 생각, 마음속에서 붙들고 살아감> <아무 낙이 없음: 따라가고 싶은 고통 속에서 어찌할 바를 모름> <비난의 화살은 결국 나에게로 향함: 자녀의 자살을 막지 못했음을 곱씹음> <죽음의 이유를 알 수 없음: 버림받고 처벌받았다고 느낌> <평생 죄인처럼 살아감: 깊이 숨기며 고통에 짓눌림> <용서하기로 선택함: 서로 살기 위해 미움을 내려놓음> <남겨진 책임감으로 일어섬: 다시 살게 하는 힘이 됨> <의미 부여하기: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원함>의 여덟 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자살유가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의 필요성과 자살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이 정상적 애도 경험을 통하여 슬픔을 잘 견뎌낼 수 있도록 돕는 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mourning for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by suicide. To this aim, three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by suicide were recruited through intentional recruitment through institutions and regionalism,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participants are three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by suicide for more than three years and are now living a relatively stable life. The data collection through in- 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0 to February 2021, and a total of three to f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per participa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presented by Clandinin and Connelly.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life is <Unbelievable: Holding onto the child who passed away in dreams, thoughts, and mind>, <No pleasure: Not knowing what to do in pain to follow>, <The arrow of criticism: Can’t stop his child's suicide>, <The reason for death was unknown: Feeling abandoned and punished>, <Life as a sinner: Hiding deeply suffering>, <Choosing to forgive: Standing up with the responsibility left to live>, and <Giving meaning: Wanting to help others>.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need for a change of negative perception of suicide survivors and a treatment program to help parents who lost their children by suicide endure sadness well through normal mourning exper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정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