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얀마 로힝자 분쟁에 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Rohingya Conflict of Myanma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18.02
26P 미리보기
미얀마 로힝자 분쟁에 대한 역사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연구 / 21권 / 1호 / 25 ~ 50페이지
    · 저자명 : 김인아

    초록

    전통시대에 여카잉 지역은 상좌불교가 뿌리를 내리고 있는 미얀마의 중앙평원지역과 무슬림의 유입이 많았던 인도의 벵갈지역 사이에 위치에 양쪽의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따라서 여카잉은 오랜기간동안 이슬람 문화와 상좌불교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종교혼합주의적 양상을 띄었던 지역이라 할수 있다. 일찍이 8세기경부터 무슬림이 유입해 들어왔으며 15~16세기를 거치면서 본격적인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먀웃우 왕조시대의 여카잉의 불교도 지배자들은 이슬람 문화를 배척하기 보다는 오히려 정치적 수단으로서 적극적으로 수용해왔다.

    그러나 여카잉족은 18세기에 버마족에 의해 중앙평원지역의 문화권으로 흡수되면서 여카잉족 내부의 정체성 변화가 일어났다. 이슬람과 불교의 공존지대였던 여카잉의 불교도들은 이제 무슬림을 타자화하는 인식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인식변화는 영국식민지배기에 접어들면서 구체적으로 발현되었다. 오늘날 분쟁의 핵심대상이 되고 있는 로힝자라는 명칭이 이시기부터 등장하기 시작했고, 무슬림의 집단화가 자의와 타의에 의해 가시화되었다. 영국식민정부시절 벵갈의 무슬림 노동력이 영국정부에의해 미얀마 지역으로 적극적으로 초치되었고, 이때 함께 유입해들어온 인도인 껄라와 무슬림이 동일한 집단으로 인식되면서 버마족의 껄라에 대한 반발이 무슬림에 대한 반발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이것이 미얀마 독립 이후, 껄라를 포함한 외래동양인에 대한 추방정책을 통해 무슬림의 역사성과 출신 문제가 대두되었고 이것이 최근 로힝자 사태로 폭발하게 된 것이다. 오늘날의 로힝자 문제는 이제 종족적 갈등을 넘어서서 이종 종교집단 혐오로까지 확대되었다.

    영어초록

    During traditional era, the Rakhine people stretched to the central plain area where Theravada Buddhism puts down roots eastward and to Bengal area where there were a lot of contacts with Muslims westward, playing a role as a cultural crossroad of the two regions. Therefore, due to often contacts with Muslims, Islam was settled gradually and for a long time. From as early as the 8th century, the Muslims came in, and after the 15th century, Muslim community was formed with Muslim merchants as the center. After the 16th century, the slave hunting of Muslims became a direct cause of Muslim community formation. Especial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rauk-U Kingdom in the 15th century, the region had a strong syncretic color in that Buddhist rulers of Rakhine used Islamic style for royal names,
    As the Rakhine people was seriously absorbed into the central plain area where the tradition of Burma people put down roots in the 18th century, the identity of the Rakhine people changed. The cultural absorption into the Burma people caused change of the Rakhine people's awareness, so Muslims in Rakhine had to lose ground. In the coexistence space of religious syncretism where the buddhist royals accepted Islamic culture without resistance in the past, a change towards the muslim occurred. In this situation, the Rohingya also cooperated with the British colonial power as other minority ethnic groups did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fter the independent, the government started prosecution on residents of Rakhine due to the reason that they belong to Rakhine region where the Rohingya people that have many members of the Communist Party live. Recently, there was bloodshed that burned Rakhine muslim areas and caused numerous casualties and refugees. In other words, the change of awareness towards muslims in the Rakhine during the 18th century experienced transition period and the colonial period, and it was extended to the hatred of different religious group after the independence.
    The hatred for muslim and conflicts throughout the Rakhine area shouldn't be considered as a temporary incident that recently happened accidently. This should be viewed as a part of tribal dispute that Myanmar consisting of numerous minority ethnic groups constantly struggled after the independence. However, in the situation that the military government was terminated and the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that requires non-violence, democracy and human right expansion is gathered as the civili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2016, it is impossible to solve the constant tribal conflict problems that repeated from the establishment of federal government with oppressive exclusion that was exercised from the closed Ne Win regime in the past. It is still controversial that the muslims of Rakhine that were gradually brought into in various periods can be defined as the term of Rohingya, but it is time to adopt humanitarian measures to solve the Rhhingya problem by considering the traditional era of harmony and coexistence history and the recent period of violence and conflict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