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類義評例」에 나타난 「大學衍義補」의 ‘固邦本’과 ‘制國用’의 교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ction of the ‘Gobangbon’ and ‘Jegugyong’ of Daehagyeonuibo in Yuuipyeongry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2.09
30P 미리보기
「類義評例」에 나타난 「大學衍義補」의 ‘固邦本’과 ‘制國用’의 교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91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강순애

    초록

    본 연구는 문헌 및 실물조사를 활용하여 「유의평례」에 나타난 「대학연의보」의 ‘固邦本’과 ‘制國用’의 교감 항목에 대해 결정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그 항목들에 대해 「대학연의보」 및 「어정대학유의」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교감의 세부 내용 및 결과를 종합하였다.
    고방본 7권(권13〜권19)은 11세목이다. 권13 총론고본지도‚ 번민지생, 권14 제민지산‚ 권15 중민지사‚ 관민지력‚ 민민지궁‚ 권16 휼민지환‚ 권17 제민지해‚ 권18 택민지장‚ 권19 분민지목‚ 순민지막 등이다. 제국용 16권(권20-권35)은 11세목이다. 권20 총론이재지도 상‚ 권21 총론이재지도 하‚ 권22 공부지상‚ 권23 경제지의 상‚ 권24 경제지의 하, 권25 시적지령‚ 권26 동저지폐 상‚ 권27 동저지폐 하, 권28 산택지리 상‚ 권29 산택지리 하‚ 권30 정각지과‚ 권31 부산지적‚ 권32 죽산지실‚ 권33 조만지의 상‚ 권34 조만지의 하, 권35 둔영지전 등이다.
    교감의 내용과 결과는 1) 고방본의 교감은 「유의평례」 1 권10첨 7항목이다. 내용 선택 1건, 내용 연결 1건, 내용 조정 3건, 내용 발췌 1건, 내용 추가 1건이다. 고방본의 핵심취지로 「서경」 우서의 대우모 편이 결정되었다. 두우의 글은 절록하여 싣고, 가양의 황하를 다스리는 세 가지 방책 및 수리의 원조인 정국거(鄭國渠) 수로 대목은 발췌되었다. 문장의 연결과 조정이 있었고, 추가 건은 거의 없었다. 2) 제국용의 교감은 「유의평례」 1 권11첨 12항목이다. 범례 1건, 내용 조정 3건, 내용 수정 1건, 내용 추가 5건, 소주쌍행처리 1건, 1항목 2개의 안건 1건이다. 범례의 논의는 본문 및 구준의 안이 삭제되었다. 내용 조정은 본문과 구준의 안설이 조정되고, 호인의 주는 삭제되었으며 「주례」의 내용은 발췌되었다. 경수창이 생략되고 조충국의 내용은 실렸다. 내용 수정은 의례대로 하였다. 내용의 추가는 매우 절제되도록 하였다. 양염, 이필의 의견은 생략되었고, 마단림의 주석은 발췌되었다. 구준의 안설도 엄정하게 발췌되어 불필요한 추가는 없도록 하였다. ‘管子曰今鐵官之數’의 본문이 끝난 다음에 소주쌍행으로 ‘以上言鐵’ 네 글자가 삽입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the decision process was made on the correction items of Gobangbon and Jegugyong in the Daehagyeonuibo that appeared in Yuuipyeongrye using literature and actual research. Regarding the items, the details and results of the correction were synthesiz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cords of the Daehagyeonuibo and the Eojeongdaehakyuui.
    7 vols of Gobangbon (vol. 13 to 19) contains 11 lists. vol.13 Chonglongobonjido‚ Beonminjisaeng, vol.14 Jeminjisan, vol.15 Jungminjisa, Gwanminjilyeog, Minminjigung, Vol.16 Hyulminjihwan‚ Vol.17, Jeminjihae, vol.18 Taegminjijang, vol.19 Bunminjimog, Sunminjimag, etc.
    16 vols of Jegugyong (vol. 20 to 35) contains 11 lists. vol.20 Conglonijaejido sang, vol.21 Conglonijaejido ha‚ vol.22 Gongbujisang, vol.23 Gyeongjejiui sang, vol.24 Gyeongjejiui ha, vol.25 Sijeogjilyeong, vol.26 Dongjeojipye sang, vol.27 Dongjeojipye ha, vol.28 Santaegjili sang, vol.29 Santaegjili ha, vol.30 jeonggwagjigwa, vol.31 Busanjijeog, vol.32 Jugsanjisil vol.33 Jomanjiui sang, vol.34 Jomanjiui ha, vol.35 Dunyeongjijeon, etc.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the correction are 1) the correction items of Gobangbon in the Daehagyeonuibo is Yuuipyeongrye, vol. 1, 10 cheom 7 items. 1 Content selection, 1 content linking, 3 content adjustment, 1 content extraction, and 1 content addition. Daewoomo’s pyeon was decided by Wooseo in Seogyeong for the core purpose of Gobangbon. Duu’s writings were selected and included, and the three policies governing the Yellow River in Ga, Yang and The Jeonggukgeo waterway item, which is the origin of the convenience of transporting over water, were excerpted. There was connection and adjustment of sentences, and there were few cases of addition of sentences. 2) the correction items of Jegugyong in the Daehagyeonuibo is Yuuipyeongrye, vol. 1, 11 cheom 12 items. There are 1 legend, 3 content adjustments, 1 content correction, 5 content additions, 1 shochu ssanghaeng and 1 item with 2 case. In the discussion of the legend, the main text and the proposal of Gu, Jun have been deleted. As for the content adjustment, the main text and Koo Jun’s comments were adjusted, the Ho, In’s comments was deleted, and the contents of Julye were excerpted. The contents of Gyeong, Su-chang was omitted and Cho, Chung-guk were included. Editing of the contents was done according to the ordinance. The addition of content was very restrained. Yang, Yeom and Lee, Pil’s comments were omitted, and Ma, Dan-rim’s comments were excerpted. the proposal of Gu, Jun was also strictly excerpted so that there were no unnecessary additions. After the main text of ‘管子曰今鐵官之數’, the four letters ‘以上言鐵’ were inserted in two small l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