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類義評例」에 나타난 「大學衍義補」의 ‘嚴武備’의 교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ction of the ‘Eommubi’ of Daehagyeonuibo in Yuuipyeongry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3.06
34P 미리보기
「類義評例」에 나타난 「大學衍義補」의 ‘嚴武備’의 교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94호 / 25 ~ 58페이지
    · 저자명 : 강순애

    초록

    본 연구는 문헌 및 실물조사를 활용하여 「유의평례」에 나타난 「대학연의보」의 ‘엄무비’의 교감 항목에 대해 결정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그 항목들에 대해 「대학연의보」 및 「어정대학연의」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교감의 세부 내용 및 결과를 종합하였다.
    엄무비 29권(권114〜권142) 16세목의 교감은 「유의평례」 2 권20첨 23항목이다. 총론위무지도 1건, 군오지제 5건, 본병지병 1건, 기계지리 9건, 간열지교 1건, 장수지임 1건, 전진지법 2건, 찰군지정 1건, 알도지기 1건, 상공지격 1건의 교감이 이루어졌다.
    첫째, 본문,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이 조정되어 수록된 경우는 11건이다. ‘史記 兵者 聖人所以討彊暴’은 본문이 발췌되었고 구준의 안설은 삭제되었다. ‘荀子曰 魏氏武卒’은 본문과 구준의 안설이 실렸다. ‘考工記曰 函人爲甲’과 ‘廬人 爲廬器’는 본문과 구준의 안설이 발췌되었다. ‘矢人爲矢 鍭矢參分’, ‘六韜曰 陷堅陳’, ‘眞宗咸平五年 石普言’ 및 ‘唐制 仲冬之月講武’는 본문이 실렸고, 구준의 안설은 발췌되었다. ‘詩小雅采薇首章’은 본문이 실렸고, 끝의 소주(小註)인 ‘詳見眞氏前書’는 삭제되었으며 범씨의 주석은 발췌되었다. ‘司勳掌六卿賞地之法’은 본문과 왕소우의 주석이 채택되었다. ‘漢志 京師有南北軍’은 본문, 임경의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이 발췌되었다.
    둘째, 본문의 관련 항목들을 선별하여 연결하고 주석과 구준의 안설이 선별되어 수록된 경우는 9건이다. ‘周禮 小司徒 乃會萬民之卒伍’는 본문과 ‘大司馬凡制軍’의 본문이 연결되고 구준의 안설은 발췌되었다. ‘府兵之制 起自西魏後周’는 본문이 발췌되어 ‘唐志云…曰禁軍’ 본문 다음에 ‘又曰’로 연결되어 실렸으며, 다음에 ‘民年二十爲兵…排䂎手步射’ 본문이 실렸다. 이어 구양수의 주석과 구준의 안설이 발췌되었다. ‘民年二十爲兵’은 ‘府兵之制 起自西魏後周’의 본문 다음에 연결되었다. ‘宋之兵制 大槩有三’은 바로 앞에 있는 ‘自高宗武后時 天下久不用兵…明年更號曰彍騎’와 ‘德宗與李泌 議復府兵…上曰 俟平河中 當與卿議之’ 두 개의 본문 다음에 연결되어 모두 실렸다. ‘周官曰 司馬掌邦政’은 실제 이 항목의 본문과 여조겸의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은 모두 삭제되었고, 다음에 나오는 ‘大司馬 卿一人 … 徒三百有二十人’의 본문이 실렸으며, 구준의 안설은 약간 수정되어 실렸다. ‘凡爲弓 冬析幹’은 실제 이 조목 앞에 있는 “弓人爲弓 取六材必以其時 … 然後可以爲良”의 본문에 “凡爲弓 冬折幹 而春液角 夏治筋 秋合三材 冬折幹則易 春液角則合 夏治筋則不煩 秋合三材則合” 부분이 발췌되어 연결되었고, 구준의 안설은 발췌되었다. ‘漢武帝元狩二年 李廣將四千騎’는 본문과 복건의 주는 삭제되었고, 앞에 있는 ‘鼂錯言於文帝曰’의 본문이 그대로 실렸으며, 구준의 안설이 발췌되었다. ‘唐府兵之法 人具弓一’은 이 항목 위의 ‘明帝永平中 北匈奴攻金浦城 耿恭爲戊己校尉 以毒藥傅矢’의 항목과 구준의 안설은 삭제되었고, 본 항목인 ‘唐府兵之法 人具弓一’은 채택되었으며 구준의 안설은 삭제되었다. ‘唐馬燧爲河東節度使’는 ‘馬燧爲河東節度使 造戰車冒以狻猊象’만 발췌되었고, 이 항목 다음에 있는 구준의 안설이 실렸고, ‘魏勝創爲如意戰車’ 다음에 나오는 안설이 발췌되어 ‘又曰’로 연결되었다.
    셋째, 본문과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이 모두 삭제된 경우는 ‘丘濬曰 轍此言’, ‘左傳桓公五年’ 및 ‘靈帝時 鉅鹿張角事黃老’의 3건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decision process was made on the correction items of ‘Eommubi’ in the Daehagyeonuibo that appeared in Yuuipyeongrye using literature and actual research. Regarding the items, the details and results of the correction were synthesiz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cords of the Daehagyeonuibo and the Eojeongdaehagyuui.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correction are as follows: The correction items of ‘Eommubi’ vol. 29 (vol. 114- vol. 142) is Yuuipyeongrye, vol. 2, 20 cheom 23 items. there are 1 case of Chonglonwimujido and 5 cases of Gunojije, 1 case of Bonmyeongjibyeong, 9 cases of Gigyejili, 1 case of Ganyeoljigyo, 1 case of Jangsujiim, 2 cases of Jeonjinjibeob, 1 case of Chalgunjijeong, 1 case of Aldojigi, and 1 case of Sanggongjigyeog.
    First, there are 11 cases in which the text, annotations, and Gu, Jun’s commentary were adjusted and recorded. The text of ‘史記 兵者 聖人所以討彊暴…遂執不移等哉’ was excerpted and Gu, Jun’s commentary was deleted. The text of ‘荀子曰魏氏武卒’ and Gu, Jun’s commentary were included. The main text and the commentary of Gu, Jun were extracted from ‘考工記曰函人爲甲’ and ‘廬人爲廬器’. ‘矢人爲矢 鍭矢參分’, ‘六韜曰 陷堅陳’, ‘眞宗咸平五年 石普言’, and ‘唐制 仲冬之月講武’ contained texts, and Gu, Jun’s commentary has been excerpted. The main text of ‘詩小雅采薇首章’ was recorded as it is, and ‘詳見眞氏前書’, the soju (小註: a more detailed comment below the text) at the end of the text, was deleted. and Only the contents of Mr. Beom’s annotation was excerpted. The main text and Wang, Su Wu’s annotation of ‘司勳掌六卿賞地之法’ were adopted. The main text, Yim, Gyeong’s annotation and Gu, Jun’s commentary of ‘漢志 京師有南北軍’ were excerpted.
    Second, there are 9 cases in which related items in the text were selected and linked, and annotations and Gu, Jun’s commentary were selected and included. The main text of ‘周禮 小司徒 乃會萬民之卒伍’ and the text of ‘成周之制 兵籍於大司徒’ were connected, and Gu, Jun’s commentary was extracted. The text of ‘府兵之制 起自西魏後周’ was excerpted as ‘又曰’ after the text of ‘唐志云 曰禁軍’, followed by ‘民年二十爲兵… 排䂎手步射’ was included. Then, Gu, Yang Su’s annotation and Gu, Jun’s commentary were excerpted. ‘民年二十爲兵’ was connected after the main text of ‘府兵之制 起自西魏後周’ and ‘民年二十 爲兵’ was connected after the text of ‘府兵之制 起自西魏後周’. ‘宋之兵制 大槩有三’ was recorded after the main text of ‘自高宗武后時’ and ‘德宗 與李泌議復府兵’, immediately before it. The text of ‘周官曰 司馬掌邦政’, Yeo, Jo Gyeom’s annotation, and Gu, Jun’s commentary were all deleted. the following ‘大司馬 卿一人’ was recorded, and Gu, Jun’s commentary was slightly revised and recorded. ‘凡爲弓冬析幹’ was partly excerpted and connected to the text of ‘弓人爲弓取六材必以其時’ before this article, and Gu, Jun’s commentary has been excerpted. The main text and Bog, Geon’s annotation of ‘漢武帝元狩二年 李廣將四千騎’ were deleted, and the text of ‘鼂錯言於文帝曰’ was recorded as it was, and Gu, Jun’s commentary was extracted. The main text of ‘唐府兵之法 人具弓一’ was adopted, and Gu, Jun’s commentary was deleted. In addition, the text of ‘明帝永平中’ above this item and Gu, Jun’s commentary were deleted. The main text of ‘唐馬燧爲河東節度使’ was partly excerpted, Gu, Jun’s commentary following this item was recorded, and the commentary following ‘魏勝創爲如意滊’ was excerpted and linked to ‘又曰’.
    Third, the main text, annotations, and Gu, Jun’s commentary were all deleted in three cases: ‘丘濬曰 轍此言’, ‘左傳桓公五年’, and ‘靈帝時 鉅鹿張角事黃老’.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