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렬왕대 ‘衣冠改變令’ 반포와 國俗의 보존 (The Proclamation of the “Ordinance of Attire Reform” and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Traditions under King Ch’ungnyŏl)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6.09
36P 미리보기
충렬왕대 ‘衣冠改變令’ 반포와 國俗의 보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6호 / 57 ~ 92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본 논문은 『高麗史』에 실린 1278년(충렬왕 4) 2월의 “令境內皆服上國衣冠”이라는 기사에 주목하여, 이러한 조치가 반포된 배경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와 원 관계 속에서의 ‘國俗’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몽전쟁기부터 고려에 소개되기 시작한 ‘韃靼의 衣冠’은 강화 이후 譯官과 使臣 등 대원외교 담당층을 중심으로 수용되었으나, 몽골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원 의관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충렬왕 즉위 이후 왕을 비롯한 지배층들의 적극적인 착용과 원의 영향력 증가로 이러한 분위기가 전환되었고, ‘衣冠改變令’이 반포되어 모든 관인이 開剃辮髮을 하고 公服에 몽골식 笠과 胡服을 도입함으로써 이후 13~14세기 관인의 집무복으로 자리잡았다.
    ‘의관개변령’의 반포 배경에는 원과의 신뢰관계 구축이라는 대외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었다. 禿魯花, 親朝, 通婚이 이루어지고 고려의 官制 및 왕실 용어가 제후국 체제로 강등되는 등 원과의 위계질서를 직접 확인하게 되었다. 더욱이 고려․고려국왕의 지위가 원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으나, 충렬왕 즉위 직후까지 고려 내의 원 관인들로 인하여 양국관계는 불안정하였다. 이에 고려는 국왕의 친조를 통하여 이러한 국면을 해결하고자 하였고, ‘의관개변령’을 친조 직전에 반포함으로써 원과의 우호적 관계 구축을 위한 가시적인 효과를 도모한 것이었다.
    고려의 의관 개변은 역설적으로 원으로부터 ‘不改土風’을 재확인받는 계기가 되었고, 한편으로는 국속에 다소간 개변을 함으로써 고려의 외교적 실리를 취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에서 국속의 유연성을 보여준다. 오히려 元人이 고려의 풍속이 변화시키려는 상황에서 국속이 호명되고, 원과의 상화관계가 강화됨에도 원과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국초부터의 황제국 체제 의관을 고수함으로써 국속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는 고려의 국속이 원만한 대원관계를 유지하며 고려의 사직을 보존하기 위한 능동적인 것임을 보여준다. 즉, 외적인 상황에 따라 국속의 형태가 변화할 수 있는 동시에 내적으로 국속 보존에 대한 의식이 복류하고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이후 양국관계의 변화 및 고려 國體의 위협 상황에서 점차 공고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令境內皆服上國衣冠” article of the Koryŏsa and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and significance of the proclamation of this ordinance,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national traditions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yŏ and Yuan regimes.
    Despite some resistance against the attire because of negative sentiments toward the Mongols, the use of the Mongol attire was initially disseminated among diplomatic groups. However, after the crowning of King Ch’ungnyŏl, these attitudes began to shift, as the attire became commonly worn by the ruling classes. After the “Ordinance of Attire Reform” was proclaimed, all government officials were required to adopt the Mongolian hair style, and public officers were dressed in Mongolian hats and Mongolian clothing (hobok), thereby establishing Mongolian clothing as the official government uniforms of the 13th and 14th centuries.
    The proclamation of the Ordinance was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a diplomatic need to establish trust with the Yuan. Under the hierarchical sovereign relationship between Koryŏ and Yuan, Yuan officials within Koryŏ often caused tensions between the two nations. Koryŏ sought to alleviate this issue with the practice of delegated native rule, and the Ordinance was proclaimed as a visible attempt to establish amicable relations under this native rule.
    The Ordinance demonstrated the flexibility of national traditions, as it used these national traditions for the diplomatic benefit of Koryŏ. As the relations with the Yuan stabilized and conflicts were culled, the nation maintained the traditions upheld from its foundation by adhering to the practices of imperial clo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