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 기반 문화예술교육을 바탕으로 한 유아의‘창의력’과‘자기 표현력’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연구: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의미연결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Self-expression' of Infants Based on Nature-Based Culture and Art Education: Focusing on semanti)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23.09
22P 미리보기
자연 기반 문화예술교육을 바탕으로 한 유아의‘창의력’과‘자기 표현력’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연구: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의미연결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산업연구 / 23권 / 3호 / 193 ~ 214페이지
    · 저자명 : 정진경, 이승미, 안지언

    초록

    본 연구는 4차산업 시대를 대비하고 코로나19를 거쳐 비대면 방식의 교육 방법과 기술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어있는 현시점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자연과 분리된 경험을 통해 역으로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이점과 중요함에 대해 생각하며 시작되었다. 창의성은 인간의 생애주기 중 유아기인 3~7세에 급격히 발달한다. 이러한 배경과 함께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인간의 전인적인 개발과 행복한 삶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예술교육을 바탕으로 인간의 사회성과 의사소통 분야에 강점이 있는 음악 요소를 통하여 실재 자연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유아의 창의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예술 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그와 동반되어 자연을 이해하고 음악 융합활동으로 자기 표현력을 개발시켜 사회적 능력을 키워 성인이 되어서까지 행복한 삶을 위한 전인적 교육효과를 목표로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방법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의미연결망 중심으로 유아를 대상으로 ‘창의력’과 ‘자기 표현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에 바탕으로 한 5차시 예술 활동 프로그램을 기술하였다. 본 교수·학습과정안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하여 질적연구 인터뷰 방법으로 4명의 각 분야에 10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유아교육, 음악교육, 공연예술(자기표현) 전문가들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여 적합성 여부를 평가받았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교육을 바탕으로 한 유아의 ‘창의성’과 ‘자기 표현력’ 발달을 위한 예술 활동 프로그램의 수업이 유의미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한편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현장 적용 시 수정을 거친 연구 제언으로 실재적으로 본 프로그램이 유아에게 적용되어 본 연구에 의미 있는 결과가 첨가되어 더 효율적인 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안으로 활용·제언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initiated with the aim of considering the benefits and importance of nature to humans through experiences of separation from nature due to social distancing at a time when much research is focused on non-face-to-face methods of educ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fter going through COVID-19. Creativity develops rapidly in early childhood, particularly in the ages of 3~7 year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rt activity program that effectively develops children's creativity by providing them with real-life nature experiences through music, which has strengths in the areas of human sociality and communication, based on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at aims for holistic human development and a happy life. In addition, the aim is to develop social skills and communication abilities by understanding nature and developing self-expression through music fusion activities, with the goal of achieving holistic educational effects for a happy life even as adults. To this end, a 5-session art activity program based on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s described, aiming to develop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xpression through a meaning network centered on the project-based approach targeting children.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is instructional design and learning plan, four experts in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music education, and performing arts (self-expression)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each field were interview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art activity program for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xpression based on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was significant. Meanwhile,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and modification of the research proposal, it is hoped that the program will be utilized and recommended as an efficient instructional design and learning plan for child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산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