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자력 발전시설 안전관리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Law System for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Plant)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0 최종저작일 2016.11
17P 미리보기
원자력 발전시설 안전관리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법논집 / 40권 / 4호 / 269 ~ 285페이지
    · 저자명 : 이우도, 이진수

    초록

    원자력 발전시설의 안전관리에 관한 국민들의 관심은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와 최근 2016년 9월 경주에서 발생한 진도 5를 초과하는 두 차례 지진을 겪으면서 원자력 발전시설의 인근 주민과 전 국민들의 불안은 점점 더 커지고 지진 이후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대한잠정 중단, 백지화, 재건설 등의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원자력 발전시설 관련 법제는 1958년 제정과 동시에 시행된 원자력법을 시작으로 그 동안 원자력의 연구, 개발, 생산, 이용과 관리에 관한 법령이 제⋅개정 과정을 거쳐 현재 원자력 관련 법령은 모두 136건이 되었다. 이러한 법령은 학술의 진보와 산업 진흥의 획기적 발전을 견인하여 국민생활의 향상과 인류사회의 복지에 기여하여 왔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백 수십 개에 이르는 원자력 발전시설 관련 법령은 약 60년이 경과하는 동안 상호 연관성이 희박한 이질적인 사항을 하나의 법률에 통합 규정함으로써, 「원자력안전법」만 하더라도 하나의 법률에 대통령령과 총리령을 제외하고도 76개의 행정규칙이 딸린, 매우 복잡하고 혼란스러운입법체계를 유지해왔던 것 또한 사실이다. 동 행정규칙들은 중앙행정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가제정한 법으로 비법규성인 행정규칙으로써 국민을 규제함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위배될 가능성을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산재되어 있거나 미비된 안전관리 규정을 추상적으로 방치할 것이 아니라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스화하여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원자로시설의 설치는 다단계 행정결정 절차에 대한 신뢰보호차원에서 행정처분을 명문화함으로써 공무원뿐만 아니라 관련 사업자들에게 간명한 법령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그리고 일본 정부의 2011년 3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 안전기술의 확보 등의노력을 벤치마킹하여 원자력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법률로서 가칭 「원자력기본법」을 제정하여 원자력 안전규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후, 전문적인 규정은 「원자력안전법」 등 개별법을 하나의 통일적 체계에 포섭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프랑스원자력안전법제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결정과 국회의 입법에 있어서도 충분한 환경적 고려와 동시에 투명성 보장이 필요하며, 국회는 법률의 제정 이후에, 행정부의 재량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원자력관련정책을 확인하고 검토함으로써 정부를 통제할 필요성이 있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examine the problems of the law systems of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Plant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s with respect to the related problem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aper would be helpful to build an effective management law system of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plant. This study compares domestic polities with foreign policies of nuclear plant. We have found that there exist 13 Acts including “Nuclear Safety Act”, etc.
    Safety laws related on nuclear facilities have 7 Acts including “Nuclear Safety Act”, “the Act on Physical 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 “Radioactive waste control Act”, “Act on Protective Action Guidelines against Radiation in the Natural Environment”, “Special Act on Assistance to the locations of facilities for disposal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ct”. “Act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The seven laws are composed of 118 legislations. They have lower statute of 8 Presidential Decrees, 4 Primeministrial Decrees, 2 Ministrial Decrees, 91 administrative rules(orders), 6 legislations of local self-government aself-governing body.
    The concluded proposal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we propos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 law and general law should be re-established. Secondly, the terms with respect to law system of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plant should be redefined and specified. Thirdly, it is advisable to re-examine and re-establish the Law System for Safety and Maintenance of Nuclear Plant.
    It is needed to provide the residents with safety to guarantee their basic and environmental rights.
    Fourth, like the French Nuclear Safety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sufficient transparency as well as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the policy decision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y the possibilities of accepting the implications of the French legal system as a legal system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법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