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업언어에서 피드백 발언의 학습 공간과 휴지부 작용력 (The Learning Space of Teacher Feedback and the effect of Pauses in Classroom Languag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9 최종저작일 2023.02
45P 미리보기
수업언어에서 피드백 발언의 학습 공간과 휴지부 작용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학교와 수업 연구 / 8권 / 1호 / 85 ~ 129페이지
    · 저자명 : 김종현

    초록

    3발언 연결체 IRF에서 교사 피드백 발언에 의한 학습 공간을 설명하고 교사 발언에서 휴지부 출현에 의한 작용력을 설명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세부 논제를 두 가지 취급한다. (1) 첫 번째 논제는, 교사가 발언하는 피드백은 그 내적 배열에 있어 학습 공간을 어떤 모습으로 구성하는지 알아보고 피드백 발언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상호작용에 관해 토의한다. 취급한 수업 자료의 분석에서, 피드백의 공간 배열을 [승인 표지어]부터 [더 질문하기] 혹은 [다음 행위 지정]까지 특정했고 이런 패턴의 기능적 사용에 따라 피드백의 학습 공간을 배열할 수 있다. (2) 두 번째 논제는, 교사 발언에서 휴지부 출현은 수업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어떤 작용력을 드러내는지 관찰하고 설명한다. 휴지부의 출현은 호흡 틈새뿐 아니라 기다리는 대기 시간으로 작용함을 구별해서 설명하였고, 교사와 학생 사이 발언차례-내부 혹은 발언차례-사이를 구분해서 휴지부 작용력을 파악하였다. 수업의 상호작용적 장면을 보여주는 데 있어 휴지부 출현은 유의미한 언어적 특질이라는 점을 밝혀내려는 시도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show how the space for learning in classroom proceeds through the internal array of teacher feedback within the three-turn initiation-response-feedback (IRF) sequence. The observed data was extracted from actual classrooms in Korean primary schools and high schools. The observations are given to characterizing how the feedback of the third turn position contributes to the continuous proceeding of three-turn sequence in classroom language. Specifically, we focused on the following two issues. First, based on the classroom data, we describe and analyze what is to be done through the teacher’s feedback turn. We come to highlight the ways in which teacher feedback is so explicated or so brief, and draw an estimation about how the construct of a series of feedback pattern keeps company with the interactional competence of feedback. In order to make the issue empirically concrete, the spatial array of several feedback exchanges has been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 sequential pattern ranging from [acceptance] to [questioning more] or [announcing next act]. Second, concerning the role of pauses in classroom language, what is conveyed by a pause is also a good instance of learning space. Based on these findings, two types of pauses are taken to present in terms of conversational turn-taking, being either within-turn or between-turns. It is also discussed that pauses are versatile in their interactional competence. Moreover, the occurrence of a pause may show a very signal of wait time, or a signal of the selection of the speaker. In this regard, the pause interval is shown to be a significant feature of classroom interactional competence. By addressing these issues, we gained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three-turn IRF sequence, not only as a space for learning but also as a space for inter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