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외 소비자 제품 노출평가모델을 이용한 노출량 비교 (Comparison of Exposure Estimates Using Consumer Exposure Assessment Models and the Korean Exposure Algorithm)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24.02
11P 미리보기
국내외 소비자 제품 노출평가모델을 이용한 노출량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50권 / 1호 / 43 ~ 53페이지
    · 저자명 : 강소현, 임미영, 이기영

    초록

    Background: Exposure assessment is an important part of risk assessment for consumer products.
    Exposure models are used when estimating consumer exposures by considering exposure routes, subjects, and circumstances. These models differ based on their tiers, types, and target populations. Consequently, exposure estimates may vary between model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results of different exposure models using identical exposure factors.
    Methods: Chemical exposure from consumer products was calculated using four consumer exposure assessment models: Targeted Risk Assessment 3.1, Consumer Exposure Model 2.1 (CEM), ConsExpo web 1.1.1, and the Korean Exposure Algorithm (primary and detailed) issu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o. 972 (MOE). The same exposure factors were used in each model to calculate inhalation and dermal exposures to acetaldehyde, d-limonene, and naphthalene in all-purpose cleaners, leather coating sprays, and sealants.
    Results: In the results, TRA provided the highest estimate. Generally, MOE (detailed), CEM and ConsExpo showed lower exposures. The inhalation exposure for leather coating spray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s between models, with differences reaching up to 1.2×107 times. Since identical inputs were used for the calculations, it is likely that the models significantly inf luenced the estimated results.
    Conclusions: Despite using the same exposure factors to calculate dermal and inhalation exposures, the results varied substantially based on the model’s exposure algorithm. Therefore, selecting an exposure model for assessing consumer products should be done with careful consideration.

    영어초록

    Background: Exposure assessment is an important part of risk assessment for consumer products.
    Exposure models are used when estimating consumer exposures by considering exposure routes, subjects, and circumstances. These models differ based on their tiers, types, and target populations. Consequently, exposure estimates may vary between model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results of different exposure models using identical exposure factors.
    Methods: Chemical exposure from consumer products was calculated using four consumer exposure assessment models: Targeted Risk Assessment 3.1, Consumer Exposure Model 2.1 (CEM), ConsExpo web 1.1.1, and the Korean Exposure Algorithm (primary and detailed) issu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o. 972 (MOE). The same exposure factors were used in each model to calculate inhalation and dermal exposures to acetaldehyde, d-limonene, and naphthalene in all-purpose cleaners, leather coating sprays, and sealants.
    Results: In the results, TRA provided the highest estimate. Generally, MOE (detailed), CEM and ConsExpo showed lower exposures. The inhalation exposure for leather coating spray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s between models, with differences reaching up to 1.2×107 times. Since identical inputs were used for the calculations, it is likely that the models significantly inf luenced the estimated results.
    Conclusions: Despite using the same exposure factors to calculate dermal and inhalation exposures, the results varied substantially based on the model’s exposure algorithm. Therefore, selecting an exposure model for assessing consumer products should be done with careful consid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