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草梁客舍 造營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horyang-gaeks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8 최종저작일 2010.12
54P 미리보기
草梁客舍 造營에 관한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37호 / 117 ~ 170페이지
    · 저자명 : 정예정

    초록

    草梁客舍는 1678년 창건 이래 총 9회 이상의 중수공사가 행해졌다. 객사가 여러 번 중창되면서 間架의 수도 늘어났는데, 정청 및 동・서헌 주요건물은 24칸에서 33칸 정도의 규모를 거쳐 45칸의 규모까지 증축되었다. 주요 건물과 함께 외삼문과 내삼문 등 부속 건물이 증축되었으며, 객사 주변의 담장 및 축대를 포함한 정비공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왜관접수가 일어난 다음해인 1873년에도 초량객사의 중수가 이루어진 사실을 통해 초량객사의 건축물은 초량왜관이 일본인 전관거류지로 변모해 가는 동안에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東萊府使接倭使圖」・「釜山逋草梁和館之圖」에 묘사된 초량객사의 외관은 전패를 모시는 正廳과 관료나 조공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온돌방을 배치한 左右翼舍를 가진 조선시대 일반적 객사형식과 같다.
    초량객사는 매번 수리마다 국왕에게 보고되면서도 조정의 관할이 아니라는 이중적 기준이 적용되었다. 왜관수리가 강력한 중앙의 통제에 의해 이루어진데 반하여, 초량객사로 대표되는 초량공해의 조영은 경상감영의 지시 아래 자치행정계통을 통해 이루어졌다. 초량공해의 공사행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재목을 수취할 경우 釜山鎭이 담당하였고, 일반 물력을 수취할 경우 동래부사가 담당하였는데, 후자의 경우 留鄕所에서 面・里任으로 연결되는 자치행정계통에 의해 물력을 조달하였다.
    감동인력은 材木을 구해야 하는 경우에는 개운포와 다대진이 담당하였고, 그 재료로 목구조를 결구하고 세부를 치장하는 수리공사는 釜山鎭과 東萊府가 맡고 있었다. 재목의 수취는 차사원의 활약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감작차사원의 경우, 왜관재목을 감작하는 개운포만호라는 점에서 초량객사의 재목수취방식이 왜관과 같음을 알 수 있다. 수리공사의 경우 鎭堡의 邊將들이 공사를 담당하는 것이 전례화 되어 있었으나, 1873년 초량객사 중수에는 문・무관직이 다양하게 편성되어 공사를 감독하였다. 이러한 자치적 감동조직의 편성 아래 왜학 역관의 활동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같은 시기 동래부 관아 건축에서 볼 수 없는 이례적인 것이다. 왜학역관이 감동관으로 활동하는 상황은 왜관수리공사의 경우와 같으며, 이로써 건축행정적인 측면에서도 초량객사는 동래부객사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외교시설로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술 장인들은 보상을 받고 공사에 참여했으나, 잡역은 무상노동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으며 수리 초기에는 釜山鎭 소속 土卒들이 동원되었다. 토졸의 과중한 업무 분담으로 이후 烟戶를 사역하게 되었다. 이처럼 19세기에도 여전히 民丁은 중앙권력에 의한 지배와 수취의 대상이 되었는데, 이는 조선후기 만성적 재정난 속에서 이루어지는 관영공사의 사례가 모두 그러하듯이 공사비 지출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 노력의 한 방편이었던 것이다.
    草梁客舍의 재원을 확보하는 방식은 草梁倭館 수리의 그것과 유사하나 역가 지급방식은 서로 차이를 보이는데, 초량객사에서는 米와 布로써, 왜관에서는 공가로써 지급하였다. 초량공해의 수리는 비교적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수리 요청이 생기면 지연 없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든 물력을 갖추었다. 초량공해의 수리를 담당한 관리는 주어진 상황 속에서 최선의 방법을 동원하여 공사를 잘 진행하여야 하는 중책을 맡고 있었으므로, 목재를 절약하고, 공사도구를 民으로부터 회수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어렵게 확보한 공사비의 지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of supervisors and artisans who belonged to Dongnae-bu of what is now the city of Busan and fundraising for building repai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horyang-gaeksa.
    Choryang-gaeksa had been located near the Choryang-waegwan, which was the largest international trading quarters between Joseon Dynasty and Tokugawa Shogunate had been maintained from 1678 through 1872 in Busan.
    This Korean traditional style building was used to perform the ceremony which was concerned with Joseon's diplomatic policy toward Tokugawa Shogunate. The government 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enshrined the wooden tablet which was inscribed the Chinese letter Jeon(殿) whose meaning is the king of Joseon Dynasty and the envoys of Tokugawa Shogunate bowed before the symbolized plate because they could not be received in royal audience in capital of Joseon.
    Therefore, Choryang-gaeksa was more important than other government offices which were located Choryang area, and had more than 9 times repairing constructions for nearly 200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Although the building was stationed right outside the wall of the Choryang- waegwa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uilding(Choryang-gaeksa) wa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usage which was carried on repairing of Choryang-waegwan. The construction of Choryang-gaeksa was achieved by local government(Dongnae-bu), whereas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of Choryang-waegwan were regul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construction organization was consisted of superintendents, artisans and ordinary people who had to serve compulsory labor every period of public construction. Superintendents of the construction were called Chal-bang, Man-ho and Hun-do, who acted as civil or military officers as well. They struggled to secure and reduce construction expenses in order to accomplish construction work without damaging the provincial finance. Because artisans were under the authority of the local government, the superintendents could send them under escort on a case by case basis. Laborers had to do compulsory service without any compensation, in contrast to the cases of the constructions which were performed in the 19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