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구지역 노래운동의 형성과 전개 — 노래패 ‘소리타래’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aegu’s Song Movement: A Case Study of Music Group “Sori-Tarae”)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7.03
47P 미리보기
대구지역 노래운동의 형성과 전개 — 노래패 ‘소리타래’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13호 / 345 ~ 391페이지
    · 저자명 : 정은경

    초록

    사회운동 현장에서 노래는 변혁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참가자들의 유대와 결속을 강화했다. 따라서 노래운동은 사회운동의 과정에서 정치적 효용을 담당하는 ‘저항 예술’로 기능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 노래운동 조직이 결성되고 노래운동의 전문화가 진행되면서 노래운동 내부에서는 운동권의 테두리를 넘어서서 일상문화를 대체하는 ‘대안 예술’의 목표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노래운동은 기존의 예술계와 차별화되는 독자적 예술 양식을 구축하지 못했으며 대안예술로서 운동의 대중화를 확장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사회운동의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이 연구는 1991년 대구에서 결성된 전문 노래패 ‘소리타래’를 사례로 저항예술의 활동을 전개한 노래패의 형성과 변화의 과정을 보여주는 탐색적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소리타래를 통해 노래운동의 주체 구성과 창작 및 현장공연의 실천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분석한다. 노래운동 진영이 주장한 대안 예술의 전환은 좌절되었지만, 소리타래의 창작곡과 전문 무대공연에서 부분적인 대안예술의 실천이 시도되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운동의 변화로 2006년 전문 음악교육을 집단적으로 수료한 소리타래가 재즈밴드를 결성하는 과정은 노래운동의 전망을 모색하고 실험하는 주체들의 현재적 단계를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In social movements and protests, participants have always looked to song. Songs convey messages and strengthen bonds and solidarity amongst the participants. By being sung over and over again, popular songs and oral songs had shaped into Korean song movement,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protest songs. Professional and well-structured Korean song movement groups have been formed since the mid-1980s. From then on, song movements have attempted to expand from the ‘resistance art movement’ to the ‘alternative art movement’ of everyday culture. But song movement has not been able to build itself as an art form in the mainstream art world. As an alternative art, song movement has not advanced the popularization of the singing movement, the song movement changes along with social movements. The activities of the protest singing group have declined due to changes in social movements and protest cultures. Since the song movement has not been able to build its own artistic genre and style, it has reached a point where it must seek new prospects for popular cultural movements.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ong movement through a case study of ‘Sori-Tarae’, a professional music group formed in Daegu in 1991. With the group’s origins in the provincial city of Daegu, Sori-Tarae has become nationally famous. As social movements changed, Sori-Tarae turned the stage of performance into an everyday space. Sori-Tarae’s transformation from a resistance song group into a jazz band shows a unique process of change in the song movement. In this article, the practice and subject of song movement, which was hidden in social movement and cultural history, are highlighted through research on Sori-Tar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