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 박뜨(Bhaktin)시인, 미랑바이에 관한 연구 ‐박띠사상과 인도여성의 위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Bhaktin Poetess, Mīrāñbāī: Focusing on Bhakti Thought and the Status of Indian Wome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2.02
24P 미리보기
여성 박뜨(Bhaktin)시인, 미랑바이에 관한 연구 ‐박띠사상과 인도여성의 위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17권 / 3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김우조

    초록

    여성에게도 남성과 동등하게 신과 하나가 되는 해탈의 길을 열어주고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 종속성의 상징이었던 ‘집’ 밖에서 여성의 종교활동을 인정했던 박띠사상은 인도여성의 위상을 높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여성 박뜨의 삶과 작품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박띠사상과 인도여성의 위상 사이의 연관성을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끄리슈나 박띠시파의 여성 박뜨 시인 미랑바이의 생애와 작품집 『빠다왈리』의 텍스트 분석을 토대로 미랑의 박띠(사랑), 미랑의 박띠 마르가(길) 그리고 마지막으로 박띠의 대상인 끄리슈나신에 대한 미랑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박띠사상이 중세 봉건시대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에게 제공한 대안적 삶과 여성 박뜨의 박띠와 박띠 마르가가 의미하는 여성의 독립성, 저항성 등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Bhakti thought, which allowed Indian women the path for the attainment of emancipation(Moksha) and religious activities out of ‘home’, a symbol of the subordination of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of the feudal milieu is generally estimated to enhance the status of Indian women.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bring light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hakti thought and the status of Indian women reflected in the life and work of woman devotee(bhaktin) poetess on the basis of textual analysis of Krishna Bhaktin poetess, Mīrāñbāī’s, Padāvalī.
    The life of Mīrāñ can be considered as a type of alternative life provided by Bhakti thought for independent women like Mīrāñ to renounce ‘home’ and to choose the Bhakti Marga with her own will in a patriarchal society the feudal milieu.
    Mīrāñ showed ‘love of Gopies’ who abandoned the patriarchal woman ideology, Pativrata, i.e. wife’s fidelity to the husband. According to the belief of Krishna Bhakti school, Krishna promised the departed Gopis in previous life to love again in this life. Mīrāñ claimed that she was Lalita, one of eight representative Gopis in her previous life and wife of Krishna in this life. Her identity as Krishna’s wife directly confront the patriarchal ideology of women, Pativrata which instructed women that husband is god. Mīrāñ’s denial of Pativrata means the protest against male dominant (men centered) thinking, orders, ideals and values.
    After the death of her husband, Mīrāñ deviated from the widow burning sati custom to choose the Bhakti Marga. And she neglected the Purdah practice of concealing women from men to dance before Girdhar(Krishna) and for ‘Sat Sang’ i.e. the good company of the holy men. Mīrāñ abandoned the worldly shame and family custom for the path of Bhakti which means her brave struggle against the women oppressive customs and practices. Her behavior breaking order and law is very dangerous in the eyes of patriarchy of the feudal milieu.
    Among many epithets for Krishna addressed by Mīrāñ Girdhar is most preferred, which connotes the idea that Krishna is the Supreme Be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rotector of his bhaktas who fell into severe adversity. Mīrāñ’s understanding of God is deeply related with the persecution and struggle in her life.
    It is bhakti thought that made Mīrāñ an independent woman transcending the barriers of feudal and patriarchal society of her time. The bhakti thought had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atus of Indian woman from the perspective of Mīrāñ’s independent life and the struggle against the medieval patriarchal ideology of women, Pativrata and the women oppressive customs and practices but the fact that an independent woman like Mīrāñ had no other way to choose death under the patriarchy of the feudal milieu implies Bhakti thought is limited in the enhancement of status of Indian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