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章太炎의 제물철학과 井上哲次郞의 현상즉실재론 (A Comparative Analysis of Zhang Taiyan's Philosophy of Equality of Things and Inoue Tetsujirō's Phenomena-as-Reality Theor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11
24P 미리보기
章太炎의 제물철학과 井上哲次郞의 현상즉실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110호 / 529 ~ 552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중국 근대 사상가 章太炎은 1900년대 후반 일본 체류 기간 이른바 齊物哲學을 구축했다. 그는 제자학뿐만 아니라 고증학, 불교 유식학, 서양철학, 일본 메이지 학술 등 전통과 근대의 다양한 학술을 동원하여 자신의 철학을 구축했다. 그는 일본 메이지 후반 철학계를 대표한 이노우에 데쓰지로의 철학을 참조했다. 이노우에는 대승기신론의 철학과 독일관념론을 동원하여 이른바 현상즉실재론을 구성했다. 본고에서 필자는 종교와 윤리의 연관성, 실재의 성격과 그 역할, 현상의 성립 등의 문제를 중심으로 두 사람을 비교했다. 장타이옌이 현실 극복의 동력으로서 종교를 말했다면, 이노우에는 인간 내면에서 국민도덕을 확립하는 기제로 종교를 말했다. 또한 장타이옌이 불교 유식학의 원성실성 개념으로 실재를 현실의 부조리를 비판하는 방법으로 그것을 활용했다면 이노우에는 오히려 현실의 개인을 초월하는 실재를 제기하여 개인을 집단으로 수렴하고자 했다. 또한 장타이옌은 일종의 범주론으로 현상의 성립을 설명하고 결국 그것을 부정했다면 이노우에는 오히려 현상은 근원적 실재가 개별화한다는 이른바 개체화 원리로 현상의 성립을 설명했다. 저 두 사람의 철학을 불교 입장으로 보면 장타이옌이 유식학의 아뢰야식설과 삼성설을 주로 동원했다면 이노우에는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 구조를 활용했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장타이옌이 현실의 개인에게서 출발하여 이상을 지향했다면, 이노우에는 비록 현상즉실재론을 말했지만 오히려 현상으로서 개인을 사회나 국가라는 실재로 수렴하려는 방식이었다.

    영어초록

    Zhang Taiyan is a prominent philosopher of modern China, known for developing the Philosophy of Equality of Things during his time in Japan in the late 1900s. His philosophical framework draws from a diverse array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cholars, incorporating elements from archaeology, Consciousness-only Theory, Western philosophy, and Japanese Meiji studies. Zhang engaged with the ideas of Inoue Tetsujirō, a key figure in late Meiji-era Japanese philosophy. Inoue formulated the Phenomena-as-Reality Theory, which synthesized concepts from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and German Idealism. In this paper, I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Zhang and Inoue, focusing on issue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ethics, the nature and function of reality,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phenomena. While Zhang regarded religion as a force to transcend reality, Inoue conceptualized it as a mechanism for establishing national morality within the individual. Additionally, Zhang utilized the notion of reality as a means of critiquing the absurdities of the world, drawing on the Pariniṣpanna-svabhāva (Perfectly Acquired Nature) from Buddhist Confucianism. In contrast, Inoue sought to unify individuals by elevating reality to a level that transcends personal experience. Moreover, Zhang explained the constitution of phenomena through a categorical approach, ultimately rejecting it, whereas Inoue posited the Principle of Individualization, wherein ultimate reality manifests as individual phenomena. From a Buddhist perspective, Zhang predominantly employed the concept of ālaya-vijñāna from Consciousness-only Theory, whereas Inoue utilized the One Mind, Two Aspects structure from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In sum, while Zhang's philosophy begins with the individual in reality and aspires toward the ideal, Inoue's thought, despite his Phenomena-as-Reality Theory, ultimately aims to integrate the individual into the societal or national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