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람-이야기 전통에서 깔리다사의 『라구원샴』 (Kālidāsa’s Raghuvanśam in the Rāma-Kathā Tradi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8.02
24P 미리보기
인도 람-이야기 전통에서 깔리다사의 『라구원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3권 / 3호 / 51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우조

    초록

    발미끼가 람의 영웅적 삶에 관한 시를 취합하여 최초로 람의 전 생애를 다룬 『라마야나』를 창작한 이후 『라마야나』는 람-이야기의 동의어가 되었고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다양한 집단의 사람들이 그들의 시대와 지역의 가치와 신념체계, 사회구조, 친족관계 등을 반영하면서 람-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왔다.
    산스크리트문학에서 발미끼 이후 람-이야기를 다룬 시인은 깔리다사이다. 그는 『라구원샴』(라구왕조)의 서문에 해당되는 1장의 1-10번째 시에서 이전 발미끼의 람-이야기 전통을 따르지만 라구왕조에 속한 왕들에 관해 들은 것을 이야기 할 것이라고 하면서 람이 속한 가문이 포함된 람-이야기를 쓸 것임을 밝히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람-이야기 전통에서 매우 독특한 위상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깔리다사는 서문에서 라구왕조의 특징을 열거하고 그 후 19장에서 라구왕조의 왕들의 삶과 통치에 그 특징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깔리다사의 『라구원샴』 텍스트를 토대로 그가 밝힌 라구왕조의 왕들의 이야기를 ‘라자다르마’(왕국의 체제를 유지에서 왕이 지켜야 할 법, 의무, 윤리, 도덕 등)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9-15장에 서술된 기존의 람-이야기에서 비슈누신의 7번째 화현의 이야기로서의 성격과 특성 그리고 라자다르마의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작품 전반에 반영된 깔리다사의 시대와 사회의 반영을 간략히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 람-이야기 전통에서 깔리다사의 『라구원샴』의 독특한 위상을 구명할 것이다.

    영어초록

    After Vālmiki had gathered the poems about Rāma's whole life with his heroic deeds and created the epic Rāmāyaṇa for the first time, Rāma-Kathā (literally means ‘story of Rāma’) have been constantly reconstituted by those from various communities in different regions and dates. Each retelling reflects the values, beliefs, social fabric, and the ties of kinship, etc. according to its regions and dates.
    In Sanskrit literatur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oets of Rāma-Kathā after Vālmiki is Kālidāsa. Unlike Vālmiki’s traditional heritage, Kālidāsa, in his epic poem Raghuvanśam (literally means ‘lineage of Raghu’), narrates the kings of Raghu dynasty where Rāma belongs to. In this respect, Raghuvanśam has a unique status in the Rāma-Kathā tradition.
    Kālidāsa himself mentions in the preface of the poem (sarga 1/ślokas 1-10) that he will recites the story of the kings of Raghu dynasty following Vālmiki’s traditional heritage, but differently from other narratives.
    Kālidāsa enumerates the characteristics of Raghu dynasty at the beginning, and then illustrates how those characteristics are manifest in the kings’ life and reign in sarga 19. In this article, based on Raghuvanśam text, the story of the kings of Raghu dynasty has be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Rājadharma (literally means ‘dharma of the rulers’). In Raghuvanśam, Rāma-Kathā is described from sarga 9 to sarga 15, and here, Rāma is identified as the 7th avatar of Lord Viṣṇu, and the features of Rāma-Kathā of Raghuvanśam show the influence of Rājadharma. On that basis, I have looked into the reflection of Kālidāsa’s times and society throughout Raghuvanśam; and through this, I tried to identify an indigenous status of the work in the Rāma-Kathā tradition.
    To Sum up, Kālidāsa wrote Raghuvanśam with the object of presenting Rājadharma necessary for his times and society; Raghuvanśam is Rāma-Kathā with Raghu dynasty story written for showing Rājadharma in which rules of kings and Brāhmaṇas centered Hindu culture of the Gupta period is refl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