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념처 수행과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Mindfulness of Four Foundations and Mindfulness of Breathi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11.05
27P 미리보기
사념처 수행과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16권 / 1호 / 141 ~ 167페이지
    · 저자명 : 이은주

    초록

    이 논문에서 필자는 『대념처경』과 『안반수의경』에 나타나는,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과 사념처 수행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다. 이 문제는 결국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이 사마타 수행인지의 여부와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이 사념처 수행과 결합된 형태로 닦여질 수 있는지의 문제로 귀결된다.『대념처경』에는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이 신념처에 대한 가르침에 나타나고 『안반수의경』에는 사념처 수행과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필자의 견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 불교의 명상체계에 포함된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은 인도의 전통적인 사마타 명상인 요가적 정려 수행이 초기 불교적 명상체계에 변용 발전된 형태로 수용된 것이다. 여기서 변용 발전의 의미는 위말라람시 스님의 『안반수의경』에 대한 해설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요지는 호흡을 과도한 집중의 대상으로 삼지 말아야 하며 호흡에 대한 사띠는 지금 이 순간 행해지고 있는 호흡을 단지 아는 것이다. 이 해설서에는 또한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과 사념처 수행을 결합된 형태로 닦는 방법이 나타난다. 그 핵심은 마음을 호흡에서 달아나게 하는 미혹된 대상들이 나타날 때마다 그러한 미혹들이 흘러가도록 놓아버리고 미혹 이면에 작용한 정신적 집착의 힘인 긴장을 이완시켜 마음이 고요해지고 열려있고 넓어지게 하고 호흡이라는 명상주제에 돌아간다는 것이다. 우빠니샤드에 나타나는, 호흡(prāna)과 눈, 귀, 말, 마음이라는 생명력의 기관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바퀴통과 바퀴살의 비유는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과 사념처 수행을 결합된 형태로 닦는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 논문은 더 나아가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과 사념처 수행을 결합한 형태로 닦는 실제 수행의 가능성을 『공에 대한 짧은 경』(Cūḷasuññata Sutta)에 비춰 설명하였다. 호흡을 주된 명상의 대상으로 삼으며 미혹에 빠지게 하는 대상을 사띠하는 것을 병행함으로써 미혹에 빠지게 하는 대상들에 대한 지각은 공하게 되고 호흡에 대한 지각은 전일성을 띠게 된다. 초기 불교의 명상체계에 포함된 호흡에 대한 사띠 수행은 인도의 전통적인 사마타 수행과는 달리 사념처 수행과 함께 병행될 수 있으며 그러한 수행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선정의 경지는 번뇌적 현상들은 사라진 상태에서 현전하는 명상주제에 대한 전일적 지각이 있는 상태로 설명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relation between mindfulness of in-and-out breathing and mindfulness of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as appeared in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and Ānāpānasati Sutta. This problem boils down to the question whether mindfulness of in-and-out breathing is samatha meditation and whether it can be practiced in combination with mindfulness of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mindfulness of in-and-out breathing appears in the teachings on the mindfulness of the body(Kāyagatāsati) and in Ānāpānasati Sutta mindfulness of breathing appears in combination with mindfulness of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 bring out the following points: The practice of jhāna as included in the early Buddhistic meditation system is a modified form of the traditional Indian Yogic dhyāna practice. The implied meaning of "modified form"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Venerable U Vimalaramsi's commentaries on Ānāpānasati Sutta. The point is that one should not try to concentrate on the breathing, but just be mindful and aware of in-and-out breathing. In Venerable U Vimalaramsi's commentaries on Ānāpānasati Sutta, we can also find the key to the problem how to practice mindfulness of in-and-out breathing in combination with the mindfulness of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ts gist can be summed up as follows: Whenever the practitioner experiences delusive objects such as physical sensation, thought, sensuous pleasure etc, he practices letting them go, relaxing tension emerged from the clinging to the mundane things, and making the mind wide open before coming back to the breath as the meditation subject. In this paper, the relation between the vital breath(prāna) and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as meditation subject is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 metaphor of the hub and the spokes, which stand for the vital breath and eye, ear, language, mind respectively. Furthermore, what is possible through the practice of mindfulness of in-and-out breathing in combination with the practice of mindfulness of four foundations is explained in the light of Cūḷasuññata Sutta as follows: While practicing mindfulness of in-and-out breathing along with mindfulness of delusive objects, the delusive objects become absent(suñña) and there is only present the singleness dependent upon the perception of the in-and-out breathing. The mindfulness of in-and-out breathing included in the early Buddhistic meditation system being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Indian Yogic samatha meditation can be practiced in combination with the mindfulness of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and the peaceful abidings attained through such a meditation practice can be described as a ho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in which the delusive objects become absent(suñña) and there is only present the singleness dependent upon the perception of the meditation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